학술논문
청소년의 학업정서 양극화 현상 연구: 학업 열의와 학업 무기력을 중심으로
이용수 666
- 영문명
- The Phenomenon of Polarization in the Academic Emotions among Adolescents: Focusing on Academic Enthusiasm and Academic Helplessnes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아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1권 제5호, 163~19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교육 양극화 문제가 학생의 정서적 발달 영역에서도 나타나는지 규명하기 위하여 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학업 열의와 학업 무기력 변화 행태와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한국아동 청소년패널 2018(KCYPS 2018) 제1~4차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집단 잠재성장모형(multiple-group latent growth model)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함의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업정서 중 긍정정서에 해당하는 학업 열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반면, 부정정서인 학업 무기력은 점점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는바, 이는 현행의 학교교육에 대한 반성과 비판적 검토가 요청됨을 시사한다. 둘째, 다집단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상위권 학생들과 하위권 학생들의 학업 열의 및 학업 무기력 변화 행태를 비교한 결과, 상위권의 학업 열의는 점점 높아지고 하위권의 학업 열의는 점점 낮아지면서 격차가 심화되는 양상과 더불어, 하위권의 학업 무기력이 점점 높아지면서 상위권과의 격차가 커지는 ‘학업정서 양극화 현상’이 나타났다. 셋째, 학업 열의의 초깃값과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요인, 가정요인, 개인요인은 상위권과 하위권 학생들 간에 동일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학업정서의 수준과 변화 양상이 달라지며, 학교요인 중 특히 관계적요인(교우관계 및 교사관계)이 학업정서 양극화 현상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쳤다. 넷째, 학교요인 외에도 학업정서 발달에는 가정요인과 개인요인이 함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업 열의에는 가정의 경제 수준, 학생의 자아존중감, 구체적 진로결정 여부가 영향을 미쳤으며, 학업 무기력에는 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학업정서 양극화 현상에 있어 초깃값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학업성취 수준이 낮은 학생들의 학업정서가 부정적인 수준(낮은 학업 열의, 높은 학업 무기력)에서 고착되지 않도록, 전인적 교육의 관점에서 학업정서 발달이 이루어지도록 다각도의 교육적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henomenon of educational polarization in the domain of adolescents’ emotional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changes in academic enthusiasm and academic helplessness based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levels and identify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se changes. The data for the study were obtained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A multiple-group latent growth model was appli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offer essential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policy insights.
First, academic enthusiasm, as a positive emotion, decreased over time, while academic helplessness, as a negative emotion, consistently increased. Second, by applying a multiple-group latent growth model to compare academic enthusiasm and academic helplessness between high-achieving and low-achieving students, the study revealed the phenomenon of polarization in academic emotions. Third, it was found that several factors have similar impacts on the initial levels and rates of change in academic enthusiasm for both high-achieving and low-achieving students. Specifically, relational factors within the school environment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exacerbation of polarization in academic emotions. Fourth, along with school-related factors, family and individual factors also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academic emotions. Lastly, the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initial values in addressing the issue of educational polarization in students' emotional development. It emphasizes the need for multifaceted educational and policy support to ensure that academic emotions are not determined solely by academic achievement levels.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업방법이 학업 성취도 분위에 따라 미치는 영향력 분석
- 교실목표구조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 성취목표와 그릿의 순차적 매개효과
- 청소년의 학업정서 양극화 현상 연구: 학업 열의와 학업 무기력을 중심으로
-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 태도 주요 설명 변인 탐색: 랜덤 포레스트와 SHAP을 적용하여
-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심리적 통제, 성장신념, 그릿과 학업성취의 관계
- 2022 개정 교육과정 학교자율시간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실행 방안 탐색
- ‘에이전시’(Agency)와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 사이: 학생 주도성 담론의 존재론적 전회에 관하여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사이버폭력 주변인의 연구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