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실목표구조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 성취목표와 그릿의 순차적 매개효과

이용수 135

영문명
How Classroom Goal Structure Affects Academic Procrastination? Serial Mediation Effect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Grit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윤연기 한천우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1권 제5호, 193~21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실목표구조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성취목표 유형과 그릿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 광역시 소재 3개 초등학교 4~6학년 재학생 521명(남학생 268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사전 기초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과 부트스트래핑 절차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숙달목표구조는 학업지연행동을 직접 예측하지 못하지만 비인지적 특성인 숙달목표와 그릿의 순차적 매개를 통해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즉, 교사가 새로운 지식의 습득을 강조하고 결과보다 과정을 중시하는 숙달목표구조의 교실환경을 제공한다면 학생들이 숙달목표와 같은 접근적 성취목표를 갖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강화된 동기가 학업에 흥미를 갖고 노력을 지속하려는 학업행동 선택에 영향을 미쳐 학업지연행동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비적응적 학업행동인 학업지연행동이 특수 맥락적이고 역동적이라는 경험적 증거를 제공하며, 이에 작용하는 교사의 역할과 다양한 비인지적 특성의 중요성과 구조적 관계 탐구의 필요성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해 준다. 더불어 교실환경의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개인차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비인지적 특성을 고려해 다양한 교수방법을 적용하려는 교사의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goal type and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room goal structur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this en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521 fourth- to sixth-grade students (268 male students) in thre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were verified through preliminary basic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bootstrapping procedur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astery goal structure did not directly predict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but it made significant predictions through the sequential mediation of mastery goal and grit, which are non-cognitive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if the teacher provides a classroom environment with a mastery goal structure that emphasizes the acquisition of new knowledge and emphasizes the process rather than the result, it can contribute to students having accessible achievement goals such as mastery goals. Through this, the strengthened motivation can influence the choice of academic behavior that a student is interested in and increase their desire to continue to study, thereby preventing academic procrastination. These results provide empirical evidence that academic procrastination, which is a non-adaptive academic behavior, is contextual and dynamic, and suggest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role of teachers acting on this,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various non-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the need to explore structural relationships.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teachers' efforts to apply various teaching methods in consideration of the non-cognitiv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based on a deep understanding of individual differences are necessary to maximize the positive effects of the classroom environment.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연기,한천우. (2023).교실목표구조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 성취목표와 그릿의 순차적 매개효과. 교육학연구, 61 (5), 193-217

MLA

윤연기,한천우. "교실목표구조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 성취목표와 그릿의 순차적 매개효과." 교육학연구, 61.5(2023): 193-2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