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에이전시’(Agency)와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 사이: 학생 주도성 담론의 존재론적 전회에 관하여
이용수 877
- 영문명
- Between ‘Agency’ and ‘Student Agency’: Ontological Turn of ‘Student Agency’ Discourse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최진 이진호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1권 제5호, 33~6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최근 개정된 국가수준의 <2022 개정 교육과정>을 비롯한 OECD 미래교육 담론에서 뜨거운 이슈가 되고 있는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 개념을 우리 교육 맥락에서 보다 근본적이고 적절하게 이해하기 위한 탐색적 작업이다. 이를 위해 우리에게 낯선 개념인 ‘에이전시’(agency)라는 용어가 서구 문화에서는 인간이 스스로를 어떤 존재로 이해하는지를 드러내는 개념이라고 해석하면서, 이 용어를 통해 인간이 자기 자신과 세계를 어떻게 간주하는지 역사적으로 추적하고 ‘물질적 전회’로 특징지어지는 오늘날의 학문적 담론에서 ‘에이전시’라는 용어에 규범성이 탈각되어 왔음을 지적한다.
한편, OECD의 <2030 Education> 프로젝트에서 최근의 학문적 담론에 대한 경향성과 미래 사회의 교육받은 인간상에 대한 새로운 감각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학생 주도성’ 개념을 제안함에도 불구하고, ‘에이전시’ 개념을 ‘학생 주도성’ 개념으로 전유할 때 학생의 삶을 학습에 한정시킴에 따라, 존재론적인 ‘에이전시’에 대한 지향성을 담아내지 못했다고 분석한다. 그리하여 물질적 전회 이후 통용되는 ‘에이전시’ 개념에서 교육적 지향성을 가지고 읽어 내야 하는 지점을 능동적으로 도출하고, 이를 ‘성숙’으로 특징지으면서 에이전시의 성숙을 위해 필요한 지점들을 제시한다고 보이는 교육학자 Biesta의 논의를 참조하여, ‘학생 주도성’의 성숙을 위한 교육적 원리를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an exploratory endeavor to comprehend the notion of “Student Agency,” which has emerged as a prominent topic in the OECD future education discourse, including the recently Revised National 2022 Curriculum, in a more comprehensive and suitable manner within our educational context. In order to this goal, it is inferred that the term “agency,” an unfamiliar notion to us, is a concept that elucidates human self-understanding in Western culture, and highlights the absence of normality in contemporary academic discourse characterized by the “material turn.”
However, even though the OECD’s “2030 Education” project has been focusing more on academic discussions and the importance of redefining the concept of an educated person in the future society, It has been determined that when the notion of agency is translated into the notion of student agency, the student’s existence is restricted to learning, thus negating the manifestation of ontological agency. Thus, referring to Biesta’s discussion, an scholar actively extracts educational points from the concept of agency used after the material turn and presents essential points for the grown-up-ness of agency.
목차
I. 서론
Ⅱ. ‘에이전시’ 개념과 인간의 자기이해 방식의 변화
Ⅲ. ‘학생 주도성’ 이해의 존재론적 전회
I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업방법이 학업 성취도 분위에 따라 미치는 영향력 분석
- 교실목표구조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 성취목표와 그릿의 순차적 매개효과
- 청소년의 학업정서 양극화 현상 연구: 학업 열의와 학업 무기력을 중심으로
-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 태도 주요 설명 변인 탐색: 랜덤 포레스트와 SHAP을 적용하여
-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심리적 통제, 성장신념, 그릿과 학업성취의 관계
- 2022 개정 교육과정 학교자율시간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실행 방안 탐색
- ‘에이전시’(Agency)와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 사이: 학생 주도성 담론의 존재론적 전회에 관하여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사이버폭력 주변인의 연구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립대학의 대학성과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유형의 전이 양상 및 재정요인 분석
- 대안교육시설 학습자에 대한 재정지원 방안: 보통교부금의 적용가능성 검토와 대안 제시
- 국가경쟁력 세계 10위권 도약을 위한 중장기 고등교육 투자 목표와 확충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