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교육과정 학교자율시간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실행 방안 탐색
이용수 988
- 영문명
- Improvements in School Autonomous Time Based on Critical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미진 홍후조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1권 제5호, 63~94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가 의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자가 제시한 문항에 대한 CVR 값을 제시하여 전문가 의견 일치 여부를 판단하였고, 서술 응답과 추가 면담 내용을 전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전문가들은 실행 주체의 자율성 확대가 반드시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목적 달성을 수월하게 해주진 않는다고 하였으며, 지역 여건 반영 및 개별 맞춤형 교육을 위해서도 현재보다 자율성이 더 필요하지는 않다고 하였다. 공통필수 교육과정기에서는 자율시간보다 기초⸱기본 학력 신장이 우선되어야 함에 유의미하게 동의하였고, 2022 개정 교육과정 학교자율시간의 실행에 대한 현장의 준비도는 아직 부족한 상태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자율성에는 책무성이 수반되므로 책무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었다. 연구를 통해 교육과정 자율성에 대한 교사의 요구 조사와 학교의 준비도를 점검하는 과정이 필요하고, 공통필수 교육과정기 교육 내용에 대한 우선순위를 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critically analyze the newly introduced school autonomous time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explore implementation plans. To this end, a literature study and expert opinion survey were conducted, CVR values for the questions suggested by the researcher were presented to determine whether the expert opinion was consistent, and descriptive responses and additional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experts said that the expansion of the autonomy of the executing entity does not necessarily make it easier to achieve the goal pursued by the curriculum, and that autonomy is not more necessary than now for reflecting regional conditions and individually customized education. In the common mandatory curriculum period, it was significantly agreed that basic and basic academic ability development should take precedence over autonomous time, and the field readines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school autonomous time was still insufficient. It was also suggested that since autonomy accompanies accountability, measures to strengthen accountability should be prepared. Through the research, it wa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eachers' needs for curriculum autonomy and to check the school's readiness, and to establish priorities for the contents of the common compulsory curriculum.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연구의 결과
Ⅴ. 학교자율시간 실행 방안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업방법이 학업 성취도 분위에 따라 미치는 영향력 분석
- 교실목표구조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 성취목표와 그릿의 순차적 매개효과
- 청소년의 학업정서 양극화 현상 연구: 학업 열의와 학업 무기력을 중심으로
-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 태도 주요 설명 변인 탐색: 랜덤 포레스트와 SHAP을 적용하여
-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심리적 통제, 성장신념, 그릿과 학업성취의 관계
- 2022 개정 교육과정 학교자율시간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실행 방안 탐색
- ‘에이전시’(Agency)와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 사이: 학생 주도성 담론의 존재론적 전회에 관하여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사이버폭력 주변인의 연구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립대학의 대학성과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유형의 전이 양상 및 재정요인 분석
- 대안교육시설 학습자에 대한 재정지원 방안: 보통교부금의 적용가능성 검토와 대안 제시
- 국가경쟁력 세계 10위권 도약을 위한 중장기 고등교육 투자 목표와 확충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