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 태도 주요 설명 변인 탐색: 랜덤 포레스트와 SHAP을 적용하여
이용수 421
- 영문명
- Exploring Variables Explaining Multicultural Adolescents’ Career Attitudes: Application of Random Forest and SHAP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백예은 정혜원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1권 제5호, 135~16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맞춤형 진로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진로 취약 계층인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 발달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기 위해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 태도를 설명하는 주요 변인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한 다문화 청소년 패널조사 1기 9차년도(고등학교 3학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이때 패널 자료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학생 배경 및 다문화 관련 요인, 개인 요인, 환경 요인을 분석에 활용하고자 머신러닝 기법 중 하나인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기법을 적용하였다. 이에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 태도 설명에 높은 기여를 하는 주요 설명 변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SHAP(shapley additive explanations) 중요도 지수가 높게 나타난 상위 20개 변인을 확인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로 장벽(자기이해 부족), 성취동기, 다문화 수용성, 학교적응(학업), 이중문화 수용 태도 순으로 진로 태도에 대한 설명의 기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외에도 다문화 관련 요인에 해당하는 국가정체성, 외국 출신 부모 나라에 대한 관심 정도를 비롯하여 개인 요인 중 진로 장벽(진로 및 직업 정보 부족), 고등학교 졸업 후 계획, 학교 진로 활동 전반적 만족도, 자아존중감이 주요 변인으로 도출되었다. 더불어 환경 요인 중 사회적 관계와 관련된 변인이 도출되었는데 부모님의 대화 빈도, 부모님의 지지 등의 부모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변인과 교사 및 교우 관계가 진로 태도를 설명하는 주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출된 주요 설명 변인의 응답 수준에 따른 진로 태도의 경향성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 발달을 위한 진로 교육 지원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major variables explaining career attitude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o discuss the implications for career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ho have difficulty in career development, as interest in personalized career education increases. To do this, random forest, one of the machine learning techniques, was applied to the 9th wave data (11th graders) from MAPS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As a result, 20 major variables were derived by using the SHAP (Shapley Additive Explanation) value. The contribution of predictions to career attitudes was high in the order of career barrier (lack of self-understanding), achievement motivation, multicultural acceptance, academic adaptation, and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In addition, national identity, interest in foreign parents' countries, career barrier (lack of career and job information), planning after high school graduation, overall satisfaction with career activities in school, and self-esteem were derived as major variables. Moreover, variables related to social relationships were derived from among environmental factors, and variables representing relationships with parents (such as parents' frequency of conversation and parental support) and teachers and friendship were the major variables predicting career attitude.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the tendency of career attitudes according to the response level of the major variables and discussed ways to support personalized career education for career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based on the results.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업방법이 학업 성취도 분위에 따라 미치는 영향력 분석
- 교실목표구조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 성취목표와 그릿의 순차적 매개효과
- 청소년의 학업정서 양극화 현상 연구: 학업 열의와 학업 무기력을 중심으로
-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 태도 주요 설명 변인 탐색: 랜덤 포레스트와 SHAP을 적용하여
-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심리적 통제, 성장신념, 그릿과 학업성취의 관계
- 2022 개정 교육과정 학교자율시간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실행 방안 탐색
- ‘에이전시’(Agency)와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 사이: 학생 주도성 담론의 존재론적 전회에 관하여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사이버폭력 주변인의 연구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립대학의 대학성과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유형의 전이 양상 및 재정요인 분석
- 대안교육시설 학습자에 대한 재정지원 방안: 보통교부금의 적용가능성 검토와 대안 제시
- 국가경쟁력 세계 10위권 도약을 위한 중장기 고등교육 투자 목표와 확충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