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심리적 통제, 성장신념, 그릿과 학업성취의 관계
이용수 389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among Teacher’s Autonomy Support, Psychological Control, Growth Mindset, Grit, and Academic Achievement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임효진 문동주 이다연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1권 제5호, 95~134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심리적 통제가 학생의 지능신념과 그릿을 거쳐 학업성취를 어떻게 예측하는지 살펴보고, 초등학교 4학년 집단과 6학년 집단에서 이러한 예측 관계가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총 518명의 초등학생(4학년 206명, 6학년 3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응답 결과는 다집단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전체 집단에서 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성장신념을 정적으로, 고정신념을 부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심리적 통제는 성장신념을 부적으로, 고정신념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성장신념은 그릿에 대해 정적인 예측력을 보였으며 그릿이 높을수록 학업성취 수준이 높았다. 셋째, 자율성 지지 혹은 심리적 통제가 성장신념 혹은 고정신념, 그리고 그릿을 경유하여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매개효과가 각각 정적, 부적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집단 분석 결과 고정신념에서 학업성취로 가는 경로계수의 크기는 4학년 집단이 6학년 집단보다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학생의 성장신념과 그릿 그리고 학업성취에 있어 교사가 제공하는 학습환경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impa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views on their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psychological control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focusing on mindset and grit. Additionally, we examined if these associations varied among 4th and 6th grade students. A total of 518 elementary school students (206 of 4th graders, 312 of 6th graders) were involved. First, the study found that teachers’ autonomy support positively predicted growth mindset and negatively predicted fixed mindset. On the other hand, psychological control had a negative impact on growth mindset and a positive impact on fixed mindset in the participants. Second, the growth mindset positively predicted grit, and higher levels of grit were associated with higher achievement. Third, the mediating effects of autonomy support and psychological control on academic achievement via growth mindset and fixed mindset and gri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the multi-group analysis showed that the path coefficients from fixed mindset to academic achievement were significantly larger in the 4th graders than in the 6th grader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w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learning environment provided by teachers in fostering students’ growth mindset, grit, and achieve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업방법이 학업 성취도 분위에 따라 미치는 영향력 분석
- 교실목표구조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 성취목표와 그릿의 순차적 매개효과
- 청소년의 학업정서 양극화 현상 연구: 학업 열의와 학업 무기력을 중심으로
-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 태도 주요 설명 변인 탐색: 랜덤 포레스트와 SHAP을 적용하여
-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심리적 통제, 성장신념, 그릿과 학업성취의 관계
- 2022 개정 교육과정 학교자율시간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실행 방안 탐색
- ‘에이전시’(Agency)와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 사이: 학생 주도성 담론의 존재론적 전회에 관하여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사이버폭력 주변인의 연구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