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수자·학습자 요구분석에 기반한 코로나19 확산단계별 대학의 원격수업 유형과 운영방안 탐색
이용수 38
- 영문명
- Exploration of distance instruction types and operation plans based on teacher and learner needs analysis for universities by stage of COVID-19 spread
- 발행기관
-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 저자명
- 김혜경 안병훈
- 간행물 정보
- 『지방교육경영』제25권 제3호, 305~33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라는 재난 상황에서 시도되었던 원격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경험과 요구를 토대로 원격수업 유형과 운영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코로나19 대응 상황을 3개 단계로 구분하고, 이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경험과 요구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교수자 165명, 학습자 986명이 설문조사에 응답하였고, 교수자 3인, 학습자 3인인 면담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코로나19 대응 원격수업에 대한 만족도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만족도는‘학습 내용 이해’,‘학습량 감소’,‘반복학습’,‘자기주도 학습역량 향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영상 콘텐츠 활용수업에서 교수자들은 ‘강의형+퀴즈/학습활동과제 제공’이라고 응답하였으나, 학습자들은‘강의형 수업’이라고 인식하는 경향이 높았다. 또한, 교과목 유형(이론/실험실습/통합)에 따라 실시간 ZOOM 수업에서 교수자와 학습자가 기대하는 수업방법은 모두 강의중심 수업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교수자와 학습자 대상 설문조사와 면담 실시 결과, 코로나19 확산단계별 원격수업 유형이 6가지로 도출되었다. 원격수업 유형 도출결과에 대한 전문가 타당화 검토를 2회 실시하여, 최종 원격수업 유형과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요컨대, 본 연구는 코로나19 대응 원격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요구로부터 기존의 대면 수업방식을 새로운 원격수업 체제로 전환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기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types of distance instruction and operation plans based on the experiences and demands of instructors and learners about distance instruction that were attempted in the disaster situation of COVID-19. Therefore, this study divided the COVID-19 response situation into three stages and analyzed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instructors and learners. To conduct this study, 165 instructors and 986 learners responded to the survey, and 3 instructors and 3 learners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satisfaction of distance instruction in response to COVID-19, the satisfaction of instructors and learners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in 'understanding of learning content', 'reduction in learning volume', 'repetitive learning', and 'improv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appear. In the video content utilization class, instructors responded that ‘lecture + quiz/learning activity assignments are provided’, but learners tended to perceive it as ‘lecture-type class’. Also, according to the subject type (theory/experimental practice/integration), lecture-centered classes were commonly presented as the teaching methods expected by instructors and learners in real-time ZOOM classes. In addition, a result of the survey and interview analysis of instructors and learners, six types of distance instruction were derived for each stage of COVID-19 spread. Expert validation was conducted twice for the result of deriving the distance instruction type, and the final distance instruction type and operation plan were presented. In shor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convert the existing face-to-face class method to a new distance instructional system from the demands of instructors and learners for distance instruction using non-face-to-face methods.
목차
Ⅰ. 서론
Ⅱ. 코로나19 상황에서 대학의 원격수업 운영정책과 사례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치원의 마을교육공동체 교육과정 운영 특성 분석 : A시 공립유치원 사례를 중심으로
- 교수자·학습자 요구분석에 기반한 코로나19 확산단계별 대학의 원격수업 유형과 운영방안 탐색
- 부산지역 혁신교육지구의 협력적 거버넌스 분석
-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학교 재구조화 방향 탐색
- 국립대학 간 공유대학 활성화 방안 연구: 충청권 국립대학 공동 교육혁신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 시·도교육청 지방공무원 공로연수제의 쟁점과 개선방안 연구
-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수용 영역 및 참여 수준 분석
- 미래 사회 초등학교장의 역할 변화 전망
- 동남권 지역 청년층의 대학 입학 및 취업, 대학원 진학 관련 지역 이동 실태 분석
- 교육리더십에 관한 질적연구의 문제와 과제
- 종합교원양성대학의 성과관리 개념 모형 탐색: K대학교를 중심으로
- 반값등록금 정책에 따른 사립대학 재정 구조 변화 추이: 대학 규모별·지역별 계정과목의 구성비 변화
- 서울형혁신교육지구 정책 과정 분석 :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중심으로
- 교원능력개발평가 제도 개선에 대한 교원과 학부모의 인식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개발
-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살아남은 자의 책임과 타자윤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