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남권 지역 청년층의 대학 입학 및 취업, 대학원 진학 관련 지역 이동 실태 분석
이용수 31
- 영문명
- An Research on the State of Inter-regional Brain Drain of Youth for College Entrance, Employment, and Graduate School Enrollment: focused on the Southeast Area of the Republic of Korea
- 발행기관
-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 저자명
- 김영식 이재준
- 간행물 정보
- 『지방교육경영』제25권 제3호, 73~9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 2018년도 조사자료(2018GOMS)를 활용하여 동남권 청년층의 지역 이동 실태를 1차 유출(대학 진학 및 편입학)과 2차 유출(취업 및 대학원 진학)으로 나누어 파악함으로써 청년층의 다양한 지역 이동 경로 및 실태를 분석하고 이에 기반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동남권에서 수도권 및 기타 지역 대학으로 고졸자 순유출이 나타났으며, 동남권 내에서는 울산 및 경남의 고졸자들이 부산의 대학으로 순유출되었으며, 동남권 대학에서 수도권 대학으로 편입학을 통한 순유출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남권에서 수도권으로 대졸자들의 취업 및 대학원 진학 관련 순유출이 나타났으며, 동남권 내에서는 부산 지역 대졸자들이 취업을 위해 울산 및 경남으로 순유출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동남권 청년층의 수도권 유출을 완화하고, 지역 인재들을 유치하기 위하여 동남권 대학들의 교육 연구, 학생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지역 인재 유치를 위한 보다 적극적인 차별 수정 정책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ed to explanatorily investigate the path and aspect of the inter-regional brain drain of Korean youth for college enrollment and employment utilizing ‘2018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dataset focusing on the Southeast area of Korea.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analyzed the first brain drain which includes the outflow of human resources due to the college entrance, and then the second brain drain involving the regional movement for employment or graduate school entr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obviously net outflows of college students from southeast area to metropolitan area, and within the southeast area youths of Ulsan and Kyungnam were more likely to move to Busan for college entrance. Furthermore, there were net outflows of college graduates for employment from southeast area to metropolitan area as well. Meanwhile, the college graduates of Busan were more likely to be employed by the job located in Ulsan and Kyungnam.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that it is needed to enhance the education, research and student support competency of regional colleges, and establish more assertive ‘affirmative action’ policy to retain regional youth in the original area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치원의 마을교육공동체 교육과정 운영 특성 분석 : A시 공립유치원 사례를 중심으로
- 교수자·학습자 요구분석에 기반한 코로나19 확산단계별 대학의 원격수업 유형과 운영방안 탐색
- 부산지역 혁신교육지구의 협력적 거버넌스 분석
-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학교 재구조화 방향 탐색
- 국립대학 간 공유대학 활성화 방안 연구: 충청권 국립대학 공동 교육혁신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 시·도교육청 지방공무원 공로연수제의 쟁점과 개선방안 연구
-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수용 영역 및 참여 수준 분석
- 미래 사회 초등학교장의 역할 변화 전망
- 동남권 지역 청년층의 대학 입학 및 취업, 대학원 진학 관련 지역 이동 실태 분석
- 교육리더십에 관한 질적연구의 문제와 과제
- 종합교원양성대학의 성과관리 개념 모형 탐색: K대학교를 중심으로
- 반값등록금 정책에 따른 사립대학 재정 구조 변화 추이: 대학 규모별·지역별 계정과목의 구성비 변화
- 서울형혁신교육지구 정책 과정 분석 :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중심으로
- 교원능력개발평가 제도 개선에 대한 교원과 학부모의 인식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개발
-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살아남은 자의 책임과 타자윤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