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학교 재구조화 방향 탐색

이용수 14

영문명
An Exploratory Study on School Restructuring In the Post Corona Era
발행기관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저자명
김혜영 홍창남
간행물 정보
『지방교육경영』제25권 제3호, 221~24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1.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에 따른 교사 경험을 토대로 새롭게 대두된 교육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여 교육본질에 집중하기 위해 요구되는 학교 재구조화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COVID-19 상황에서 학교와 교사가 경험한 교육실천 사례를 분석한 10편의 질적 연구물을 바탕으로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학교교육 활동의 지속을 위해 학교와 교사는 학생 주도성과 교사 교육과정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학생의 삶을 보다 더 깊이 이해하는데 집중해야 한다. 둘째, 학교조직은 업무구조의 유연성과 학년 중심의 의사결정 문화가 확보된 학교 안의 작은 학교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셋째, 학생 돌봄과 학습권 보장이라는 교육 본질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학교와 가정 지역사회 간 단단한 교육적 결합을 구축해야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차원의 정책 제언으로 학생 상담 강화 및 학생 생활기록의 정상화, 학년 전환기의 전년도 교사(학교)와 당해연도 교사(학교)의 협력 체계 마련, 부서 및 학년 부장의 역할 재구조화, (가칭) 주치교사제(마을교사 가정방문 학생돌봄시스템) 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chool restructuring based on the teacher's experience following COVID-19. Based on a qualitative meta-synthe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10 qualitative studies that analyzed the cases experienced by schools and teachers in the COVID-19 situation showed that 'a deep understanding of student life', 'a small school system within a school', ' A solid educational connection between school-home-local community was sought in the school restructuring. First, in order for school educational activities to continue in an educational crisis situation, understanding of student life and learning should be prioritized. In addition, the school organization is required to change to a small school system within the school where the flexibility of the work structure and the grade-oriented decision-making culture are secured. Finally, in order to realize the purpose of education, which is to take care of students and guarantee the right to learn, a strong educational bond between the school and the home and local community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reinforce student counseling and normalize student life records with policy suggestions in the practice area, prepare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the previous year's teachers and the current year's teacher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and restructure the roles of department and grade heads teacher, (tentative name)the primary care school teacher system was proposed.

목차

Ⅰ. 서론
Ⅱ. 학교 재구조화의 의미와 주요 영역
Ⅲ. 연구 방법
Ⅳ.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학교 재구조화 방향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영, 홍창남. (2022).포스트 코로나 시대 학교 재구조화 방향 탐색. 지방교육경영, 25 (3), 221-249

MLA

김혜영, 홍창남.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학교 재구조화 방향 탐색." 지방교육경영, 25.3(2022): 221-2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