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학교 재구조화 방향 탐색
이용수 21
-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School Restructuring In the Post Corona Era
- 발행기관
-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 저자명
- 김혜영 홍창남
- 간행물 정보
- 『지방교육경영』제25권 제3호, 221~24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에 따른 교사 경험을 토대로 새롭게 대두된 교육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여 교육본질에 집중하기 위해 요구되는 학교 재구조화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COVID-19 상황에서 학교와 교사가 경험한 교육실천 사례를 분석한 10편의 질적 연구물을 바탕으로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학교교육 활동의 지속을 위해 학교와 교사는 학생 주도성과 교사 교육과정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학생의 삶을 보다 더 깊이 이해하는데 집중해야 한다. 둘째, 학교조직은 업무구조의 유연성과 학년 중심의 의사결정 문화가 확보된 학교 안의 작은 학교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셋째, 학생 돌봄과 학습권 보장이라는 교육 본질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학교와 가정 지역사회 간 단단한 교육적 결합을 구축해야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차원의 정책 제언으로 학생 상담 강화 및 학생 생활기록의 정상화, 학년 전환기의 전년도 교사(학교)와 당해연도 교사(학교)의 협력 체계 마련, 부서 및 학년 부장의 역할 재구조화, (가칭) 주치교사제(마을교사 가정방문 학생돌봄시스템) 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chool restructuring based on the teacher's experience following COVID-19. Based on a qualitative meta-synthe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10 qualitative studies that analyzed the cases experienced by schools and teachers in the COVID-19 situation showed that 'a deep understanding of student life', 'a small school system within a school', ' A solid educational connection between school-home-local community was sought in the school restructuring. First, in order for school educational activities to continue in an educational crisis situation, understanding of student life and learning should be prioritized. In addition, the school organization is required to change to a small school system within the school where the flexibility of the work structure and the grade-oriented decision-making culture are secured. Finally, in order to realize the purpose of education, which is to take care of students and guarantee the right to learn, a strong educational bond between the school and the home and local community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reinforce student counseling and normalize student life records with policy suggestions in the practice area, prepare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the previous year's teachers and the current year's teacher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and restructure the roles of department and grade heads teacher, (tentative name)the primary care school teacher system was proposed.
목차
Ⅰ. 서론
Ⅱ. 학교 재구조화의 의미와 주요 영역
Ⅲ. 연구 방법
Ⅳ.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학교 재구조화 방향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치원의 마을교육공동체 교육과정 운영 특성 분석 : A시 공립유치원 사례를 중심으로
- 교수자·학습자 요구분석에 기반한 코로나19 확산단계별 대학의 원격수업 유형과 운영방안 탐색
- 부산지역 혁신교육지구의 협력적 거버넌스 분석
-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학교 재구조화 방향 탐색
- 국립대학 간 공유대학 활성화 방안 연구: 충청권 국립대학 공동 교육혁신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 시·도교육청 지방공무원 공로연수제의 쟁점과 개선방안 연구
-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수용 영역 및 참여 수준 분석
- 미래 사회 초등학교장의 역할 변화 전망
- 동남권 지역 청년층의 대학 입학 및 취업, 대학원 진학 관련 지역 이동 실태 분석
- 교육리더십에 관한 질적연구의 문제와 과제
- 종합교원양성대학의 성과관리 개념 모형 탐색: K대학교를 중심으로
- 반값등록금 정책에 따른 사립대학 재정 구조 변화 추이: 대학 규모별·지역별 계정과목의 구성비 변화
- 서울형혁신교육지구 정책 과정 분석 :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중심으로
- 교원능력개발평가 제도 개선에 대한 교원과 학부모의 인식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개발
-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살아남은 자의 책임과 타자윤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