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원능력개발평가 제도 개선에 대한 교원과 학부모의 인식 분석
이용수 23
- 영문명
- Analysis of the perceptions on the improvement of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 발행기관
-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 저자명
- 정성수 안홍선
- 간행물 정보
- 『지방교육경영』제25권 제3호, 49~7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해 2020년에 실시되지 않았으며, 2021년부터 제도 개선되어 실시된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이해관련당사자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향후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올바른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1년도 교원능력개발평가 종료 이후에 평가에 참여한 이해관련당사자들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제도 개선 사항들에 대해 평가부담 완화, 평가 시스템 접근의 편리성, 결과활용 부담의 완화 등 전반적으로 긍정적 인식이 높았으나 지나친 간소화, 시스템의 불안정 등 부정적 인식과 우려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동일한 제도 개선사항에 대해 평가주체간(교원과 학부모간) 인식 차이가 특히 크게 나타난 사항에 대해서는 좀 더 면밀한 연구와 조사를 통한 제도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구체적인 평가 결과 활용 계획의 수립, 평가 목적 및 평가 주체에 맞는 맞춤형 평가문항의 설계, 평가 참여율 제고를 위한 학교급별, 지역별, 평가 주체별 방안 모색 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perceptions and finding the right direction for future teacher evaluation system.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n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with interested parties who participated in the evaluatio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evaluation of teacher competency development in 2021.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overall positive perception of system improvement was high, but negative perceptions and concerns were also significant. It was suggested that system improvement through more in-depth research and investigation was necessary for matters in which there was a particularly large difference in perceptions between the evaluation subjects(between teachers and parents) regarding the same system improvement item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is suggested to establish a plan for using specific evaluation results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design customized evaluation questions for evaluation purposes and evaluation subjects, and seek ways for each school level, region, and evaluation subject to increase the evaluation participation rate. did.
목차
Ⅰ. 서론
Ⅱ. 교원능력개발평가 제도의 이해
Ⅲ. 2021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제도 개선에 대한 인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치원의 마을교육공동체 교육과정 운영 특성 분석 : A시 공립유치원 사례를 중심으로
- 교수자·학습자 요구분석에 기반한 코로나19 확산단계별 대학의 원격수업 유형과 운영방안 탐색
- 부산지역 혁신교육지구의 협력적 거버넌스 분석
-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학교 재구조화 방향 탐색
- 국립대학 간 공유대학 활성화 방안 연구: 충청권 국립대학 공동 교육혁신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 시·도교육청 지방공무원 공로연수제의 쟁점과 개선방안 연구
-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수용 영역 및 참여 수준 분석
- 미래 사회 초등학교장의 역할 변화 전망
- 동남권 지역 청년층의 대학 입학 및 취업, 대학원 진학 관련 지역 이동 실태 분석
- 교육리더십에 관한 질적연구의 문제와 과제
- 종합교원양성대학의 성과관리 개념 모형 탐색: K대학교를 중심으로
- 반값등록금 정책에 따른 사립대학 재정 구조 변화 추이: 대학 규모별·지역별 계정과목의 구성비 변화
- 서울형혁신교육지구 정책 과정 분석 :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중심으로
- 교원능력개발평가 제도 개선에 대한 교원과 학부모의 인식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육논총 제39집 목차
- 재한 중국 유학생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학생의 심리적 독립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진로정체감이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매개로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