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종합교원양성대학의 성과관리 개념 모형 탐색: K대학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20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nceptual Model of Performance Management in the Comprehensive Teachers’ Training University: Focusing on K university
- 발행기관
-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 저자명
- 김세영 김도기
- 간행물 정보
- 『지방교육경영』제25권 제3호, 1~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종합교원양성대학의 성과관리 개념 모형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종합교원양성대학인 K대학교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K대학교의 특성 및 성과관리와 관련한 문헌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K대학교가 가진 특성을 파악하고, K대학교의 성과관리 현황을 분석한 것을 토대로 종합교원양성대학의 성과 및 성과관리 개념을 도출하였다. 연구를 통해 종합교원양성대학의 성과관리는 “종합교원양성대학이 설정한 목표인 교원교육의 종합적인 균형 발전을 달성하고, 교육, 연구, 연수, 대학경영(운영·재정·환경), 지역공헌·국제화, 대학원 분야에서 의도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수립한 계획에 따라 수행한 총체적인 행동과 과정을 분석 및 평가하여 대학의 성장을 유도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종합교원양성대학의 성과관리 개념 모형의 구성요소를 ‘비전’, ‘미션’, ‘관점’ 등으로 설정하고 종합교원양성대학 성과관리 개념 모형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ceptual model of performance management at the general teacher training university.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K University, a comprehensive teacher training university, was used as the subject of the study, and literature related to K University's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management was analyzed. Through this, the characteristics of K University were identified and the concept of performance management of K University was deriv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erformance management status of K University. The performance management of the university was defined as 'a series of processes that induce university growth by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overall behavior and process systematically established to achieve the intended results in education, research, training, university management (operation, finance, environment), regional contribution, and graduate school'. Based on this, the higher dimension of the performance management model of the general teacher training university was proposed by devising the components of the performance management concept model as 'vision', 'mission', and 'view'.
목차
Ⅰ. 서론
Ⅱ. K대학교 특성 분석
Ⅲ. K대학교 성과관리 현황 분석
Ⅳ. 종합교원양성대학 성과관리 개념 모형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치원의 마을교육공동체 교육과정 운영 특성 분석 : A시 공립유치원 사례를 중심으로
- 교수자·학습자 요구분석에 기반한 코로나19 확산단계별 대학의 원격수업 유형과 운영방안 탐색
- 부산지역 혁신교육지구의 협력적 거버넌스 분석
-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학교 재구조화 방향 탐색
- 국립대학 간 공유대학 활성화 방안 연구: 충청권 국립대학 공동 교육혁신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 시·도교육청 지방공무원 공로연수제의 쟁점과 개선방안 연구
-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수용 영역 및 참여 수준 분석
- 미래 사회 초등학교장의 역할 변화 전망
- 동남권 지역 청년층의 대학 입학 및 취업, 대학원 진학 관련 지역 이동 실태 분석
- 교육리더십에 관한 질적연구의 문제와 과제
- 종합교원양성대학의 성과관리 개념 모형 탐색: K대학교를 중심으로
- 반값등록금 정책에 따른 사립대학 재정 구조 변화 추이: 대학 규모별·지역별 계정과목의 구성비 변화
- 서울형혁신교육지구 정책 과정 분석 :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중심으로
- 교원능력개발평가 제도 개선에 대한 교원과 학부모의 인식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개발
-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살아남은 자의 책임과 타자윤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