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도교육청 지방공무원 공로연수제의 쟁점과 개선방안 연구
이용수 28
- 영문명
- A Study on Issues and Improvement Plans for the Contribution Training Program for Local Public Officials at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 저자명
- 이정미 강지연
- 간행물 정보
- 『지방교육경영』제25권 제3호, 119~14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시·도교육청 지방공무원 공로연수제의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공무원 공로연수제의 쟁점들을 구체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합리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공무원 공로연수제의 운영 개요, 공무원 퇴직준비교육과 생애주기 경력개발에 관한 이론적 논의, 그리고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등을 토대로 연구의 분석 틀을 구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결론 및 제언을 종합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공무원 공로연수제는 개인적 차원에서 복리후생 증대, 조직적 차원에서 인사적체 해소, 국가·사회적 차원에서 국가 인적자원의 사회적 활용 등의 목적에 부합한다. 다만, 그 명칭을 ‘공무원 퇴직역량 개발 연수’로 변경하여 공로연수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해소하고, 공무원의 체계적인 퇴직준비가 퇴직 후 사회 전체에 이익이 된다는 인식을 확산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무노동 유임금의 예산낭비 요소가 있다는 사회적 비판, 퇴직 때까지 성실히 근무하기를 희망하는 공무원들의 요구, 사회적응을 위한 실질적 연수 프로그램의 제공 요구, 공무원의 장기 파견으로 인한 인력운영 및 관리의 비효율성 문제 등을 고려할 때, 현행 공로연수 기간을 단축하여 운영하되, 직급별 차등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공로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주기적 수요조사를 실시하고, 재취업과 환경변화에 대한 능동적 대처를 지원하기 위한 연수 프로그램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공로연수 프로그램의 적절성 및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지방공무원의 생애주기별 연수와 퇴직준비교육의 연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contribution training program for local public officials in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identify issues in the contribution training program for public officials, and prepare improvement plans.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contribution training program for local public officials meets the objectives of increasing welfare benefits at the individual level, resolving personnel backlog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nd social utilization of national human resources at the national and social level. However,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name to ‘retirement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for public officials’. Second, social criticism of non-working paid wages, public officials' demands to work until retirement, demands for effective training programs for social adaptation, and inefficiencies in manpower operation and management due to long-term dispatch of public officials, etc. Considering this, it is necessary to shorten the current contribution training period, but operate it differentially by posi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conduct periodic demand surveys on contribution training program and expand training programs to support active responses to reemployment and environmental changes. Lastly, in order to enhance the relevance and effectiveness of contribution training program,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life cycle training for local public officials and retirement preparation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시·도교육청 지방공무원 공로연수 및 퇴직준비교육 운영 현황
Ⅳ. 시·도교육청 지방공무원 공로연수제의 쟁점
Ⅴ. 시·도교육청 지방공무원 공로연수제 개선방안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치원의 마을교육공동체 교육과정 운영 특성 분석 : A시 공립유치원 사례를 중심으로
- 교수자·학습자 요구분석에 기반한 코로나19 확산단계별 대학의 원격수업 유형과 운영방안 탐색
- 부산지역 혁신교육지구의 협력적 거버넌스 분석
-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학교 재구조화 방향 탐색
- 국립대학 간 공유대학 활성화 방안 연구: 충청권 국립대학 공동 교육혁신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 시·도교육청 지방공무원 공로연수제의 쟁점과 개선방안 연구
-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수용 영역 및 참여 수준 분석
- 미래 사회 초등학교장의 역할 변화 전망
- 동남권 지역 청년층의 대학 입학 및 취업, 대학원 진학 관련 지역 이동 실태 분석
- 교육리더십에 관한 질적연구의 문제와 과제
- 종합교원양성대학의 성과관리 개념 모형 탐색: K대학교를 중심으로
- 반값등록금 정책에 따른 사립대학 재정 구조 변화 추이: 대학 규모별·지역별 계정과목의 구성비 변화
- 서울형혁신교육지구 정책 과정 분석 :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중심으로
- 교원능력개발평가 제도 개선에 대한 교원과 학부모의 인식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개발
-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살아남은 자의 책임과 타자윤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