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동의 자기표현능력과 사회자본이 적응유연성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1
- 영문명
- The Effects of Self-expression Ability and Social Capital on Resilience and Happiness in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 저자명
- 아영아 박소현
- 간행물 정보
- 『교류분석상담연구』제13권 제1호, 167~18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아동의 건강한 발달을 위해서는 행복감이 중요하다는 점에 초점을 두고 아동 개인과 그들을 둘러싼 환경 영역의 개입지점을 발견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아동의 자기표현능력과 사회자본이 행복감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적응유연성의 간접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221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와 AMOS를 활용하여 경로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현능력과 사회자본은 아동의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의 자기표현능력이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으며, 사회적 자본이 높을수록 행복감이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아동의 자기표현능력은 적응유연성을 거쳐 행복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자본 또한 적응유연성을 거쳐 행복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따른 논의를 통해 아동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한 개인과 환경 영역의 개입방안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With a focus on the point that happiness is important for the healthy development of children,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out the points to intervene with individual children and environmental domains surrounding them. The specific purpose of research is to verify the direct effects of self-expression ability and social capital on happiness and the indirect effects of resilience in children. To address the goal, this researcher collected data with the self-administering questionnaire method targeting elementary school 5th and 6th graders in Busan and used 221 sheets for final analysis. About data analysis, SPSS and AMOS were utilized to verify the hypotheses through path analysis, and the main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self-expression ability and social capital exert direct effects on happiness in children. This means that the higher a child’s self-expression ability, the higher the level of happiness, and when they have more social capital, the level of happiness gets higher significantly. Second, self-expression ability has indirect effects on happiness with the mediation of resilience, and social capital also influences happiness indirectly with the mediation of resilience in children. Through the discussion over the findings, this researcher suggests measures to intervene with individuals and environmental domains to enhance children’s happines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 취업 여성의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
- 승자각본 중도 시각장애인의 삶의 경험에 대한 생애사 연구
- 코로나19의 정신적 충격과 정신건강문제의 관계에서 주관적 행복감과 가족관계문제의 매개효과
- 청소년 게임이용자의 우울과 외로움의 종단적 인과관계 검증: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의 적용
- 교류분석 재양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상태와 인생태도에 미치는 효과
- 아동의 자기표현능력과 사회자본이 적응유연성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 학업중단 이후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회복센터 거주 청소년을 중심으로
- 대학학위 과정에 있는 중년기 여성의 자기성찰 경험에 관한 연구
- 교류분석 이론에 근거한 청소년용 드라이버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청소년의 체질량지수, 신체적 자아상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