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19의 정신적 충격과 정신건강문제의 관계에서 주관적 행복감과 가족관계문제의 매개효과
이용수 29
- 영문명
- Mediating Effects of Subjective Happiness and Family Relationship Proble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hock of COVID-19 and Mental Health Problems
- 발행기관
-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 저자명
- 천고은 유영달
- 간행물 정보
- 『교류분석상담연구』제13권 제1호, 143~16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코로나19의 정신적 충격, 주관적 행복감, 가족관계문제, 정신건강문제의 관계를 확인하고 코로나19와 정신건강문제의 관계에서 주관적 행복감과 가족관계문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에 거주 중인 만20세 이상부터 69세까지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30명의 유효자료를 수거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SPSS 22.0을 사용하여 Baron and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 절차에 따라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위해 SPSS Macro를 활용하여 Bootstrapping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의 정신적 충격은 가족관계문제, 정신건강문제에는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주관적 행복감에는 부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의 정신적 충격, 주관적 행복감, 가족관계문제는 정신건강문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19의 정신적 충격과 정신건강문제의 관계에서 주관적 행복감과 가족관계문제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코로나19의 정신적 충격으로 인한 일반인의 정신건강문제를 위해 사회적, 심리적 개입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f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hock of COVID-19, subjective happiness, family relationship problems, and mental health problems for the general public,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ubjective happiness and family relationship proble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and mental health problems. To this end, online surveys were conducted in the public, aged 20 to 69, who were living in Seoul, Busan, Daegu, Incheon, and Gwangju, through which valid data could be collected from a total of 330 respondent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SPSS 22.0 was used to perform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procedure proposed by Baron and Kenny (1986), and bootstrapping was carried out using SPSS Macro to evaluat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sychological shock of COVID-19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family relationship problems and mental health problems,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ubjective happines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psychological shock of COVID-19, subjective happiness, and family relationship problem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mental health problems. Third,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ubjective happiness and family relationship proble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shock of COVID-19 and mental health problems, it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follow-up studies on social and psychological interventions to deal with the mental health problems of the general public due to the psychological shock of COVID-19.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 취업 여성의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
- 승자각본 중도 시각장애인의 삶의 경험에 대한 생애사 연구
- 코로나19의 정신적 충격과 정신건강문제의 관계에서 주관적 행복감과 가족관계문제의 매개효과
- 청소년 게임이용자의 우울과 외로움의 종단적 인과관계 검증: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의 적용
- 교류분석 재양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상태와 인생태도에 미치는 효과
- 아동의 자기표현능력과 사회자본이 적응유연성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 학업중단 이후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회복센터 거주 청소년을 중심으로
- 대학학위 과정에 있는 중년기 여성의 자기성찰 경험에 관한 연구
- 교류분석 이론에 근거한 청소년용 드라이버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청소년의 체질량지수, 신체적 자아상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