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학위 과정에 있는 중년기 여성의 자기성찰 경험에 관한 연구
이용수 21
- 영문명
- A Study on the Introspective Experiences of Middle-Aged Women in University Degree Programs
- 발행기관
-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 저자명
- 박선녀 김영미
- 간행물 정보
- 『교류분석상담연구』제13권 제1호, 77~9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학위 과정에 있는 중년기 여성의 자기성찰 경험에 대한 심층적이고 맥락적인 과정 속에서 그 본질과 구조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A지역 B대학의 51~64세 3, 4학년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경험의 공통된 의미단위를 기초로 하여 9개의 하위구성요소와 3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대학학위 과정에 있는 중년기 여성의 자기성찰 경험은 ‘열등감에 사로잡힌 나를 마주함’에서 ‘나와 세상에 대해 새롭게 일깨움’을 거쳐 ‘성찰과 소통으로 성장하는 나’라고 하는 과정으로 나아가게 된다. 참여자들은 자기성찰을 통해 자신들이 학력에 대한 자격지심에 빠져 있고 가족에 대해 원망하며 사회에서의 한계에 부딪히고 있었음을 자각하였으며, 이는 자신과 가족, 주변에 대해 깊이 탐색하고 이해해 할 수 있도록 하여 새롭게 자신을 일깨우게 되었다. 지속적인 자기성찰은 자신이 성장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더불어 하는 사회와 함께 행복할 수 있는 사회를 꿈꾸게 되는 삶으로 나아가게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미와 한계, 후속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structure of middle-aged women’s introspective experiences in university degree programs in an in-depth and contextual proces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9 students aged 51~64 in 3rd and 4th grade from University B in Area A. From the collected data, 9 sub meaning units and 3 meaning units were derived based on the common semantic unit of experience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experience of introspective of middle-aged women in the university degree course progresses from ‘facing me caught in a sense of inferiority’ to ‘a new awakening of myself and the world’ and ‘a growing me through introspection and communication’. Through introspective experience, the participants realized that they were immersed in their academic qualifications, resented their family, and were facing limitations in society. Continuous introspective experience led to a life in which one can dream of a society in which one can grow and be happy with a society in which they live togeth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direction of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 취업 여성의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
- 승자각본 중도 시각장애인의 삶의 경험에 대한 생애사 연구
- 코로나19의 정신적 충격과 정신건강문제의 관계에서 주관적 행복감과 가족관계문제의 매개효과
- 청소년 게임이용자의 우울과 외로움의 종단적 인과관계 검증: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의 적용
- 교류분석 재양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상태와 인생태도에 미치는 효과
- 아동의 자기표현능력과 사회자본이 적응유연성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 학업중단 이후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회복센터 거주 청소년을 중심으로
- 대학학위 과정에 있는 중년기 여성의 자기성찰 경험에 관한 연구
- 교류분석 이론에 근거한 청소년용 드라이버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청소년의 체질량지수, 신체적 자아상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