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 게임이용자의 우울과 외로움의 종단적 인과관계 검증: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의 적용
이용수 65
- 영문명
- Testing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d loneliness among adolescent game players: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 저자명
- 소택서 장승옥
- 간행물 정보
- 『교류분석상담연구』제13권 제1호, 49~7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게임플레이어의 외로움과 우울의 변화 양상과 두 변수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콘텐츠진흥원의 게임이용자 패널 데이터를 사용하여 외로움과 우울을 잠재변수로 설정한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기간에 걸쳐 이전 시점의 우울은 이후 시점의 우울을 안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조사대상 기간에 걸쳐 이전 시점의 우울은 이후 시점의 외로움을 안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울과 외로움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상호인과성이 있지만, 남녀의 성별 차이는 드러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 게임이용자에게는 디지털기반의 사회관계망 강화, 진로탐색, 상담을 통해 우울과 외로움에 대한 개입을 동시에 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성별차이는 고려할 필요가 없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depression among adolescent game players and whether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The current study analyzed the Korean Creative Content Agency “Game Players Panel Data”. The results of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showed that loneliness at the prior time had a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at the later time. Similarly,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f depression on loneliness at a later time. However,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Based on these results recommendations are made for service adjustments for loneliness and depression among adolescent game players such as counseling and strengthenning by digital-based social network activities and exploring career path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noted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are presented.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Research Method
Ⅳ. Research Results
Ⅴ. Discussion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 취업 여성의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
- 승자각본 중도 시각장애인의 삶의 경험에 대한 생애사 연구
- 코로나19의 정신적 충격과 정신건강문제의 관계에서 주관적 행복감과 가족관계문제의 매개효과
- 청소년 게임이용자의 우울과 외로움의 종단적 인과관계 검증: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의 적용
- 교류분석 재양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상태와 인생태도에 미치는 효과
- 아동의 자기표현능력과 사회자본이 적응유연성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 학업중단 이후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회복센터 거주 청소년을 중심으로
- 대학학위 과정에 있는 중년기 여성의 자기성찰 경험에 관한 연구
- 교류분석 이론에 근거한 청소년용 드라이버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청소년의 체질량지수, 신체적 자아상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