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 학업중단 이후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회복센터 거주 청소년을 중심으로
이용수 48
-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s of adolescents after school dropout: Focusing on adolescents living in recovery centers
- 발행기관
-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 저자명
- 박경늠 김영숙 허만세
- 간행물 정보
- 『교류분석상담연구』제13권 제1호, 121~14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업중단 이후의 삶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로 기존의 선행연구를 통해 밝혀진 청소년의 학업중단 원인을 질적 연구를 통해 고찰해 보고 학업중단 후 이들의 생활과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청소년의 학업중단 과정과 그 이후의 삶에 대한 경험의 의미와 본질이 무엇인지를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내 회복센터 3곳에 거주하는 학업중단 경험이 있는 청소년 13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심층면접을 수행하였고, 면담내용은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에서 제시하고 있는 자료 분석과정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업중단 청소년들이 학업중단 후 주로 아르바이트로 일하면서 돈을 벌게 되었고 검정고시 공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중단 청소년들은 학업중단 후 또래 관계가 단절된 것에 대해 친구 관계 형성이 필요하였고, 독립생활을 하면서 돈이 필요했으며, 무엇보다 학업을 중단하고 난 후 졸업하는 것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학업중단 경험의 본질은 어릴 때 부모로부터 버림받음에 대한 배신과 가정폭력 경험 속의 억압된 분노로 욕구좌절을 경험하였고, 학업중단 이후 사회지원 혜택에 대한 고마움을 발견하고 지지받으며 학업중단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하면서 사회로부터 사랑과 인정을 통해 회복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를 본문에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is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s of adolescents after school dropout. This study aimes to explores the factors of school dropout in adolescents revealed through previous studies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reveal what their life is like and what they needs after school dropout, and to identify the meaning and nature of the experience of adolescents’ school dropout process. For this purpose,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3 adolescents who had experience of school dropout living in three recovery centers in Gyeongsangnam-do and the interview cont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process presented in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y.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adolescents who dropped out of school earned money by working part-time jobs after dropping out of school and studied for the GED. Second, it was found that adolescents who dropped out of school needed to form friendships because of the break in peer relationships after dropping out of school, needed money while living independently, and most of all, graduated after dropping out of school. Third, the nature of the adolescent’s experience of dropping out of school is that they experienced frustration due to betrayal of being abandoned by their parents when they were young and suppressed anger in the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They experience recovery through love and recognition from society while having a new awareness of their relationship. A discussion of these results is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V.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 취업 여성의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
- 승자각본 중도 시각장애인의 삶의 경험에 대한 생애사 연구
- 코로나19의 정신적 충격과 정신건강문제의 관계에서 주관적 행복감과 가족관계문제의 매개효과
- 청소년 게임이용자의 우울과 외로움의 종단적 인과관계 검증: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의 적용
- 교류분석 재양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상태와 인생태도에 미치는 효과
- 아동의 자기표현능력과 사회자본이 적응유연성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 학업중단 이후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회복센터 거주 청소년을 중심으로
- 대학학위 과정에 있는 중년기 여성의 자기성찰 경험에 관한 연구
- 교류분석 이론에 근거한 청소년용 드라이버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청소년의 체질량지수, 신체적 자아상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