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의 성생활 실태 및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208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ality of sexual life and supports of the disabled
- 발행기관
- 한국사례관리학회
- 저자명
- 전지혜 남이해 양숙미 남지현
- 간행물 정보
- 『사례관리연구』제14권 제1호, 167~19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의 성생활 실현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이들이 경험하는 성생활의 어려움이 무엇이고 그 지원방안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경기도 장애인 성생활 실태조사에 응답한 장애인 243명과 FGI에 참여한 장애인 13명의 응답결과를 혼합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 성생활의 장벽은 사회적 인식과 접근 미보장의 문제가 가장 큰 어려움으로 지적되었는데, 장애인을 무성적 존재로 인지하거나 장애인의 성을 억압하는 문화로 인하여 장애인의 성권리에 대한 교육, 정보 등이 부재하고, 이는 가족과 장애인 당사자에게도 자신의 성권리를 인지하지 못하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장애인 성생활 및 성권리와 관련된 정보와 교육 제공, 장애유형별 및 통합적 차원의 접근 필요, 장애인 성권리에 대한 인식개선, 실질 적용 가능한 교육컨텐츠의 개발, 정보제공, 장애인 당사자 단체의 성상담 활동가 양성, 의료적 지원, 심리 정서적 지원 및 전달체계 구축 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realizing the sexual life of the disabled, and tried to find out what difficulties they experience in their sexual lives and what factors cause such difficulties. Therefore, a mixed methods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responses of 243 persons with disabilities who responded to the Sexual Life Conditions of Disabilities in Gyeonggi-do and 13 persons who participated in FGI.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barriers to sexual life of the disabled were pointed out as the biggest difficulty in social awareness and lack of access. The back is absent, and it has been shown that it prevents families and disabled people from recognizing their sexual rights. Based on this,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and education related to sexual life and sexual rights of disabilities, necessity of approach by type of disability and integrated dimension, improvement in awareness of sexual rights of disabilities, development of practically applicable educational contents, information Discussions were made on provision, training of sex counseling activists in organization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medical support, psycho-emotional support, and establishment of a delivery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현병을 지닌 사람의 입원경험과 아비투스
-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제공자의 회복지향실천 역량강화 방안
- 한국 노인의 가족 관계 만족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문제음주의 매개효과 분석
- 사회서비스 근로자의 직무 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안녕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장애인일자리사업 개발연구: 참여자 모집 및 배치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활동지원제공기관 실무자 사례조사를 통해서 본 장애인활동지원제도 개선방안
- 장애인의 성생활 실태 및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 델파이조사방법을 통한 통합사례관리 슈퍼바이저 역량도출
- 주야간보호 서비스 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인력, 비용, 시설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