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제공자의 회복지향실천 역량강화 방안
이용수 93
- 영문명
- Measures to strengthen recovery-oriented practice capabilities of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providers
- 발행기관
- 한국사례관리학회
- 저자명
- 송영매
- 간행물 정보
- 『사례관리연구』제14권 제1호, 37~6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제공자의 회복지향실천 역량강화 방안을 탐색하기 위하여 당사자의 주체적인 경험을 존중하는 철학에 기반한 대안적 실천경험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당사자연구 및 이야기치료를 배우고 현장에 적용한 서비스제공자 14명을 대상으로 초점 집단면접을 진행하였다. 일반적 질적연구방법의 주제분석을 통해 5개 대주제와 15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대주제는 ‘실천의 한계를 인식하고 비로소 당사자를 한 사람으로 마주함’, ‘당사자와 협력적 관계를 위해 노력함’, ‘당사자의 다양한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번뇌함’, ‘대안적 실천의 문화 형성을 위해 힘을 기울임’, 새로운 시도에 걸맞은 교육이 절실함’이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제공자의 회복지향실천 역량강화를 위한 함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alternative practice experiences based on a philosophy that respects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people with psychosocial disabilities to explore ways to strengthen the recovery-oriented practice
capabilities of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providers. To this e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4 service providers who had learned Research and Mutual Help and narrative therapy and applied them in the field. A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to derive 5 major themes and 15 sub-themes. The main themes are ‘Recognizing the limitations of practice and facing the person as one person’, ‘Striving for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person concerned’, ‘Struggling to support the person’s various recovery’, ‘Formation of a culture of alternative practice’ ‘Efforts are made for the future’, and education suitable for new attempts is desperately needed. Based on thi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mental health service providers in the community to practice recovery a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의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현병을 지닌 사람의 입원경험과 아비투스
-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제공자의 회복지향실천 역량강화 방안
- 한국 노인의 가족 관계 만족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문제음주의 매개효과 분석
- 사회서비스 근로자의 직무 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안녕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장애인일자리사업 개발연구: 참여자 모집 및 배치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활동지원제공기관 실무자 사례조사를 통해서 본 장애인활동지원제도 개선방안
- 장애인의 성생활 실태 및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 델파이조사방법을 통한 통합사례관리 슈퍼바이저 역량도출
- 주야간보호 서비스 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인력, 비용, 시설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