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노인의 가족 관계 만족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문제음주의 매개효과 분석
이용수 122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familial relationships and quality of life amongst the older adults in Korea: The mediating effect of problematic alcohol use
- 발행기관
- 한국사례관리학회
- 저자명
- 재가람 정슬기
- 간행물 정보
- 『사례관리연구』제14권 제1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노인을 대상으로 문제적 음주가 가족 관계 만족과 삶의 질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14차 한국 복지 패널 조사에서 수집한 4,814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알코올 오용의 매개효과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노인들의 문제적 음주는 가족 관계 만족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관계 만족 여부가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침과 동시에 문제적 알코올 사용 또한 가족 관계 만족 여부에 영향을 받아 삶의 질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노인 대상 사례관리와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사회복지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problematic alcohol us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familial relationships and quality of life amongst the older adults in Korea. The study sample included 4,814 participants who were selected from the 14th Korea Welfare Panel Survey. The results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verified the mediating role of problematic alcohol use between family relationships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older adults population in Korea. In other words, the quality of life among family members can have a direct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but problematic alcohol use can also have a mediating impact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refore, there are some important implications for social workers and other related healthcare professionals to consider in their practice, including educating and guiding our elderly people to healthier coping mechanisms as well as developing healthier family relationships. Furthe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s
Ⅳ. Results
Ⅴ. Discus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현병을 지닌 사람의 입원경험과 아비투스
-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제공자의 회복지향실천 역량강화 방안
- 한국 노인의 가족 관계 만족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문제음주의 매개효과 분석
- 사회서비스 근로자의 직무 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안녕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장애인일자리사업 개발연구: 참여자 모집 및 배치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활동지원제공기관 실무자 사례조사를 통해서 본 장애인활동지원제도 개선방안
- 장애인의 성생활 실태 및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 델파이조사방법을 통한 통합사례관리 슈퍼바이저 역량도출
- 주야간보호 서비스 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인력, 비용, 시설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