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활동지원제공기관 실무자 사례조사를 통해서 본 장애인활동지원제도 개선방안
이용수 164
- 영문명
- Improvement of the Personal Assistants System for the Disabled through a case study of the Provider
- 발행기관
- 한국사례관리학회
- 저자명
- 최윤영 조인숙
- 간행물 정보
- 『사례관리연구』제14권 제1호, 93~11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애인자립생활센터와 장애인복지관 관리자 5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토의(FGI)를 실시하였으며,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바탕으로 의미분석(thematic analysis)을 통해 연구 문제와 핵심 주제들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로는 활동지원기관의 과중한 행정업무로 인한 서비스의 질 관리의 어려움과 노동강도 차이에 따른 중증장애인 기피 현상, 부정수급 관리지침의 상이성, 학대 발생 환경이지만 주기적인 모니터링의 부재, 활동지원사 교육 및 양성의 문제점 등이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활동지원제공기관 실문자 사례조사를 통해 본 장애인활동지원제도의 정책적 개선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자 교육 의무화이다. 둘째, 전담 인력의 고용안정화 방안이며, 셋째, 부정수급 지침 관련 규정과 정기적인 안내, 넷째, 개인예산제와 같은 이용인의 초점을 둔 서비스의 개편이다. 마지막으로 활동지원사의 역량 강화와 학대예방을 위한 교육을 통해 서비스의 질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a focus group discussion (FGI) was conducted through Zoom for five managers of the Independent Living Center for the Disabled and the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which mainly provides personal assistants services in Seoul, Gyeonggi, Incheon and so on and derived research questions and key topics through thematic analysis based on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ifficulties in managing the quality of services due to heavy administrative workload of the personal assistants services organizations, avoidances of severe disabilities due to differences in labor intensity, differences in the management guideline of illegal supply and demand, lack(absences) of regular monitoring in the environment where abuse occurs, and problems in training and training of personal assistants were revealed.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policy improvements of the personal assistants services system for case management based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as follows. First, user education is mandatory. Second, it is a measure to stabilize the employment of personal assistants services, third, regulations related to illegal supply and demand guidelines and regular guidance, and fourth, the reorganization of services focused on users, such as the personal budget system. Finally, quality management of services should be carried out through training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personal assistants and prevent abuse.
목차
Ⅰ. 도입
Ⅱ. 문헌 고찰
Ⅲ. 연구 과정 및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현병을 지닌 사람의 입원경험과 아비투스
-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제공자의 회복지향실천 역량강화 방안
- 한국 노인의 가족 관계 만족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문제음주의 매개효과 분석
- 사회서비스 근로자의 직무 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안녕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장애인일자리사업 개발연구: 참여자 모집 및 배치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활동지원제공기관 실무자 사례조사를 통해서 본 장애인활동지원제도 개선방안
- 장애인의 성생활 실태 및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 델파이조사방법을 통한 통합사례관리 슈퍼바이저 역량도출
- 주야간보호 서비스 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인력, 비용, 시설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