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요양병원 간호사와 요양보호사의 직무불안정성,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 간의 영향관계 분석
이용수 112
- 영문명
-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Job Insecurity,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Long-term Hospital Nurses and Care Givers
- 발행기관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 저자명
- 최사라 정은성 노현재
- 간행물 정보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제15권 제1호, 95~10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종사자의 직무불안정성,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요양병원 종사들의 직무환경 개선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분석자료는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요양병원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표본집단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변수의 정화를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모형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파악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변수들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구조모형분석 결과, 직무불안정성은 직무스트레스(β=0.716, p<0.001)와 이직의도(β=0.432, p<0.001)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β=0.471, p<0.001)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요양병원 종사자들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고용을 보장하고 직무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는 근무환경 조성이 필요하며, 또한 직무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job insecurity,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long-term care hospital employees in order to improve their work environment.
Methods :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employees of long-term care hospitals in Seoul Metropolitan City and Gyeonggi Province. The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es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group; additionally, the research conduc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purify the measurement variable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search model. Moreover, the study conduct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study variables.
Results :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modeling showed job insecurity had a statistically positive influence on both job stress(β=0.716, p<0.001) and turnover intention(β=0.432, p<0.001). In addition, job stress had a statistically posi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β=0.471, p<0.001).
Conclusion :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working environment that can guarantee stable employment and minimize job stress; it is also necessary to implement a program that relieve job stress in order to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of long-term care hospital employe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병인 전문화를 위한 맞춤식 간병 및 재활교육의 필요성과 요구도 조사: 노인성 질환 환자를 중심으로
- Andersen 모형을 이용한 고령 장애인의 미충족 의료 경험과 영향 요인
- 인지행동치료가 척수손상 환자의 정신건강,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작업치료사의 수면의 질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 한국보건산업진흥원(KHIDI)의 고령친화용품 품목 분류 기준 고찰: 대학에서 창출한 고령친화용품 지식재산권을 중심으로
- 유니버셜 디자인을 적용한 고령자 보행보조기 디자인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활용한 이중과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및 낙상예방에 미치는 효과
- 요양병원 간호사와 요양보호사의 직무불안정성,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 간의 영향관계 분석
- 수정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전통 놀이의 Allen 인지 단계별 분류화: DPA 활동 분석을 기반으로
- 돌봄가족 대상 사회적 돌봄사업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초점집단인터뷰를 중심으로
- 보건계열 대학생의 자동제세동기의 태도와 지식이 자동제세동기와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