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건계열 대학생의 자동제세동기의 태도와 지식이 자동제세동기와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10
- 영문명
- The Effects of the Attitude and Knowledge of Automatic Defibrillator on the Performance of Automatic Defibrillator an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발행기관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 저자명
- 박윤희 김정이 조미숙
- 간행물 정보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제15권 제1호, 47~5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자동제세동기의 태도와 지식이 자동제세동기와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하는 탐색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방법: 보건계열 대학생 3학년 315명을 대상으로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One-way ANOVA,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자동제세동기의 태도와 지식이 자동제세동기와 심폐소생술 수행능력 정도는 4.21점, 2.65점, 4.01점이고, 자동제세동기와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동제세동기에 대한 태도이고 다음으로 자동제세동기에 대한 지식이었다. 종속변수를 설명하는 설명력은 45.0%이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보건계열 대학생의 자동제세동기와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해 매년 BLS provider 프로그램 참여 등 지식과 태도를 높일 수 있도록 교육과정 개발과 지속적인 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제언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ttitude, and knowledge of AEDs and their effects on AEDs an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performance of college health students
Methods :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for 315 third-year college students in the health students
Results : The degree of attitude and knowledge of AEDs and CPR performance of college health students was 4.21, 2.65, and 4.01 points, and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AED and CPR performance was attitude toward AED, followed by AED. It was the knowledge of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The explanatory power to explain the dependent variable was 45.0%.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it is proposed to develop a curriculum and continue education to improve knowledge and attitude, such as participating in the BLS provider program every year, in order to improve the AED and CPR performance of health-related college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병인 전문화를 위한 맞춤식 간병 및 재활교육의 필요성과 요구도 조사: 노인성 질환 환자를 중심으로
- Andersen 모형을 이용한 고령 장애인의 미충족 의료 경험과 영향 요인
- 인지행동치료가 척수손상 환자의 정신건강,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작업치료사의 수면의 질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 한국보건산업진흥원(KHIDI)의 고령친화용품 품목 분류 기준 고찰: 대학에서 창출한 고령친화용품 지식재산권을 중심으로
- 유니버셜 디자인을 적용한 고령자 보행보조기 디자인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활용한 이중과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및 낙상예방에 미치는 효과
- 요양병원 간호사와 요양보호사의 직무불안정성,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 간의 영향관계 분석
- 수정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전통 놀이의 Allen 인지 단계별 분류화: DPA 활동 분석을 기반으로
- 돌봄가족 대상 사회적 돌봄사업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초점집단인터뷰를 중심으로
- 보건계열 대학생의 자동제세동기의 태도와 지식이 자동제세동기와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