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ndersen 모형을 이용한 고령 장애인의 미충족 의료 경험과 영향 요인
이용수 137
- 영문명
- Factors affecting Unmet healthcare needs among older Persons with Disabilities applied by Andersen’s behavioral model
- 발행기관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 저자명
- 김예순 이은미
- 간행물 정보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제15권 제1호, 13~2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Andersen 모형을 적용하여, 고령 장애인의 미충족 의료 경험과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3,323명의 장애인을 대상으로 미충족 의료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데이터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으로 기술 통계, X2-검정, 다중 로지스틱 회귀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고령 장애인의 19.0%가 병원에 가고 싶어도 갈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 미충족 경험의 주요 원인은 ‘교통 불편’과 ‘경제적 이유’였다. 고령 장애인의 미충족 의료경험에 대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연령, 학력, 주관적 경제상태, 장애유형, 스트레스 지각률, 자살시도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고령 장애인에 대한 실질적 개입에 필요한 보건의료정책 수립 및 실행 위해서는 장애유형, 경제적 상황, 스트레스 관리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고령 장애인의 미충족 경험을 줄일 수 있는 실질적인 프로그램과 건강 사업 마련이 시급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Unmet healthcare needs among older Persons with Disabilities.
Methods : This study analyzed factors influencing unmet medical experience among the disabled aged 65 years or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2017 National survey of the disabled data.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ith the SPSS win 21.0 program.
Results : It was found that 19.0% of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unable to visit hospitals even if they wanted. The main reasons for experience unmet medical care were ‘inconvenient transportation’ and ‘economic reasons’. As a result of perform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the unmet medical experience of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it was analyzed that age, education, subjective economic status, disability type, stress perception rate, and suicide attempt variables
had a statistical significant effect.
Conclusion : We should consider for practical interventions including health care policy establishment and medical guarantee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the type of disability, economic status, and stress management should be considered first. Practical programs and projects that can reduce the unmet experiences of the elderly and disabled should be establish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병인 전문화를 위한 맞춤식 간병 및 재활교육의 필요성과 요구도 조사: 노인성 질환 환자를 중심으로
- Andersen 모형을 이용한 고령 장애인의 미충족 의료 경험과 영향 요인
- 인지행동치료가 척수손상 환자의 정신건강,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작업치료사의 수면의 질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 한국보건산업진흥원(KHIDI)의 고령친화용품 품목 분류 기준 고찰: 대학에서 창출한 고령친화용품 지식재산권을 중심으로
- 유니버셜 디자인을 적용한 고령자 보행보조기 디자인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활용한 이중과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및 낙상예방에 미치는 효과
- 요양병원 간호사와 요양보호사의 직무불안정성,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 간의 영향관계 분석
- 수정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전통 놀이의 Allen 인지 단계별 분류화: DPA 활동 분석을 기반으로
- 돌봄가족 대상 사회적 돌봄사업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초점집단인터뷰를 중심으로
- 보건계열 대학생의 자동제세동기의 태도와 지식이 자동제세동기와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