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작업치료사의 수면의 질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4
- 영문명
- A Study on Influenc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s Sleep Quality on Job Commitment
- 발행기관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 저자명
- 김지훈
- 간행물 정보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제15권 제1호, 37~4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수면의 질과 직무몰입 간의 상관성과 함께 수면의 질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작업치료사의 수면의 질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직무몰입 향상을 위한 수면의 질의 근거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23년 2월 1일부터 2월 24일까지 작업치료사 151명을 대상으로 수면의 질과 직무몰입을 각각 평가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피어슨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작업치료사의 수면의 질 평균 점수는 낮은 편이었다. 둘째, 수면의 질은 직무몰입에 유의한 음의 상관성이 있었다. 셋째, 수면의 질은 직무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수면의 질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직무몰입 향상을 위한 수면의 질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결론적으로 수면의 질은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쳤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작업치료사의 수면의 질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수면의 질이 직무몰입 향상을 위한 하나의 준거로 고려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sleep quality correlation between job commitment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influence of the sleep quality on job commitment. Through this, we aim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sleep quality and provide the basis for the sleep quality to improvement job commitment.
Methods :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1 to February 24, 2023. Total 151 occupational therapists measure for sleep quality and job commitment.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2.0.
Results : First, sleep quality of averaged score was low. Second, sleep quality w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ed between job commitment. Third, sleep quality was found to have affected the job commitment.
Conclusion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leep quality in occupational therapist’s on job commitment and provide the basis for the sleep quality to improvement job commitment. In conclusion, sleep quality affected job commitment. Based on this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importance sleep quality will be recognized and considered as a criterion for improvement job commitme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병인 전문화를 위한 맞춤식 간병 및 재활교육의 필요성과 요구도 조사: 노인성 질환 환자를 중심으로
- Andersen 모형을 이용한 고령 장애인의 미충족 의료 경험과 영향 요인
- 인지행동치료가 척수손상 환자의 정신건강,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작업치료사의 수면의 질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 한국보건산업진흥원(KHIDI)의 고령친화용품 품목 분류 기준 고찰: 대학에서 창출한 고령친화용품 지식재산권을 중심으로
- 유니버셜 디자인을 적용한 고령자 보행보조기 디자인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활용한 이중과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및 낙상예방에 미치는 효과
- 요양병원 간호사와 요양보호사의 직무불안정성,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 간의 영향관계 분석
- 수정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전통 놀이의 Allen 인지 단계별 분류화: DPA 활동 분석을 기반으로
- 돌봄가족 대상 사회적 돌봄사업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초점집단인터뷰를 중심으로
- 보건계열 대학생의 자동제세동기의 태도와 지식이 자동제세동기와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