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활용한 이중과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및 낙상예방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64
- 영문명
- Effects of Dual Task Activity Using Virtual Reality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Fall Prevention in Stroke Patients
- 발행기관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 저자명
- 권다슬 김덕주
- 간행물 정보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제15권 제1호, 81~9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활용한 이중과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및 낙상예방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입원 뇌졸중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 10명, 대조군 10명을 무작위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군에게는 Thera-trainer Balo를 사용한 균형 훈련과 함께 주의력, 기억력, 실행기능 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이중과제 프로그램과 전통적 작업치료를 제공하였으며, 대조군에게는 전통적인 작업치료를 제공하였다. 중재는 하루 30분, 주 5회 총 4주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재 후 인지기능 평가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p<.05, p<.01), 두 집단 간의 변화량을 살펴본 결과 숫자 바로 따라 외우기와 기호잇기 검사-A 항목에서는 실험군의 변화량이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p<.05). 일상생활활동과 균형 및 낙상 효능감 평가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p<.01), 두 집단 간의 변화량을 살펴본 결과 실험군의 변화량이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p<.05, p<.01).
결론: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활용한 이중과제 훈련은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및 낙상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프로그램은 추후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에 유용한 중재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ual task activities using virtual reality programs on cogni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fall prevention in stroke patients.
Methods : The study included 20 stroke patients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10 and a control group of 10. The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 dual-task program using Thera-trainer Balo for balance training, as well as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to improve attention, memory, and executive function. The control group received only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for 30 minutes per day, 5 days a week, for 4 weeks.
Results :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gnitive function assessments (p<.05, p<.01). When examining the chang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changes in the DST-DF and TMT-A (p<.05).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balance and fall efficacy assessments
(p<.01),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p<.05, p<.01).
Conclusion : The dual-task training utilizing the virtual reality program in this study improved the cogni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fall prevention of stroke patient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serve as a useful guideline for therapists who wish to develop rehabilitation programs for stroke patient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병인 전문화를 위한 맞춤식 간병 및 재활교육의 필요성과 요구도 조사: 노인성 질환 환자를 중심으로
- Andersen 모형을 이용한 고령 장애인의 미충족 의료 경험과 영향 요인
- 인지행동치료가 척수손상 환자의 정신건강,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작업치료사의 수면의 질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 한국보건산업진흥원(KHIDI)의 고령친화용품 품목 분류 기준 고찰: 대학에서 창출한 고령친화용품 지식재산권을 중심으로
- 유니버셜 디자인을 적용한 고령자 보행보조기 디자인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활용한 이중과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및 낙상예방에 미치는 효과
- 요양병원 간호사와 요양보호사의 직무불안정성,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 간의 영향관계 분석
- 수정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전통 놀이의 Allen 인지 단계별 분류화: DPA 활동 분석을 기반으로
- 돌봄가족 대상 사회적 돌봄사업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초점집단인터뷰를 중심으로
- 보건계열 대학생의 자동제세동기의 태도와 지식이 자동제세동기와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