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니버셜 디자인을 적용한 고령자 보행보조기 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89
- 영문명
- A Study on the Walking Aids for Older Adults Applied Universal Design
- 발행기관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 저자명
- 배예나
- 간행물 정보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제15권 제1호, 71~7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보행보조기 디자인 개발에 유니버셜 디자인 원칙과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고령자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보행보조기를 디자인 하는 것이다. 사용자 중심의 요구사항 및 제약조건 등을 고려한 보행보조기의 디자인 방향성에 대한 제안을 통해 디자인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22년 10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70세 이상의 노인, 고령층과 관련된 간병인 및 사회복지사 5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 인터뷰(FGI)를 진행하였다. 심층 인터뷰는 유니버셜 디자인 7원칙과 쉐도잉(Shadowing) 분석 기법을 바탕으로 인터뷰 질문지를 작성하여 분석하고, d.school의 디자인씽킹 5단계 모형을 활용한 문제해결 과정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참여자들의 실제 경험 및 사례를 기반으로 보행보조기에 유니버셜디자인 원칙을 적용하고, 디자인씽킹 프로세스 진행을 통한 ‘공감하기(Empathize)’, ‘문제 정의하기(Define)’, ‘아이디어 도출(Ideate)’, ‘시제품제작(Prototype)’, ‘평가(Test)’의 5가지 단계별 결론을 도출하여 보행보조기 개발에 따른 디자인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한 손 사용 시 부족한 안정성을 보완할 수 있는 기능, 양손사용이 가능한 구조와 지지대 역할 등의 기능 개선사항이 우선순위로 분석되었으며, 이를 반영한 보행보조기 제품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보행보조기 디자인은 초기 조사⋅분석하였던 고령자들의 요구사항과 희망점에 대한 요구사항이 충족되었다는 응답 및 긍정적인 피드백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로 사용 편의성 향상과 거동의 불편함 해소는 물론, 이를 통한 자기 주도적 삶의 회복은 고령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walking aids with improved usability for the elderly by applying the universal design principles and design thinking proces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the design development for the welfare goods through the suggestions on the direction of the walking aids design suitable for user-centered the requirements and the constraints etc.
Methods : From October 2022 to December 2022,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with five caregivers and social workers related to the elderly and over 70 years of age. The FGI included in-depth interviews on the 7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and shadowing analysis techniques. An interview questionnaire was prepared and analyzed, and a problem-solving process was conducted using the five-step design thinking model from d.school.
Results : During the study, the research team applied universal design principles to walking aids, drawing on the actual experiences and cases of research participants. Through the five stages of the design thinking process - Empathize, Define, Ideate, Prototype, and Test - the team derived design improvement direction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walking aids. Priorities for functional improvements were identified, including the ability to use the aids, a structure that can be used with both hands, and the role of support. Through this process, meaningful conclusions were drawn and design improvements were identified to better meet the needs of users.
Conclusion : The design of the walking aids presented in this study were obtained the responses and the positive feedback that the requirements for the elderly's needs and desired points, who were initially surveyed and analyzed, were met.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convenience of use and ease of movement, as well as the recovery of self-directed life through this, will greatly contribute to the significant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us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병인 전문화를 위한 맞춤식 간병 및 재활교육의 필요성과 요구도 조사: 노인성 질환 환자를 중심으로
- Andersen 모형을 이용한 고령 장애인의 미충족 의료 경험과 영향 요인
- 인지행동치료가 척수손상 환자의 정신건강,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작업치료사의 수면의 질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 한국보건산업진흥원(KHIDI)의 고령친화용품 품목 분류 기준 고찰: 대학에서 창출한 고령친화용품 지식재산권을 중심으로
- 유니버셜 디자인을 적용한 고령자 보행보조기 디자인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활용한 이중과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및 낙상예방에 미치는 효과
- 요양병원 간호사와 요양보호사의 직무불안정성,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 간의 영향관계 분석
- 수정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전통 놀이의 Allen 인지 단계별 분류화: DPA 활동 분석을 기반으로
- 돌봄가족 대상 사회적 돌봄사업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초점집단인터뷰를 중심으로
- 보건계열 대학생의 자동제세동기의 태도와 지식이 자동제세동기와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