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발달에 관한 메타분석
이용수 248
- 영문명
- A Meta-Analysi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 Development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정선영 조한익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1권 제2호, 265~298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발달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메타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3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의 학위, 학술논문들을 검토하여 학위논문 36편, 학술논문 57편 총 93편의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교사-유아의 관계와 유아발달에 관한 메타분석 결과 친밀관계와 유아발달의 전체 효과크기는 높게 나타났다(ES=.443).
조절변인에 따라서 친밀관계와 유아발달의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남아의 효과크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사 평정의 효과크기는 유아 평정의 효과크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Pianta(1991) 척도의 효과크기가 가장 높았다. 교사-유아 갈등관계와 유아발달의 전체 효과크기는 중간 효과크기가 나타났다(ES=-.379). 교사 평정의 효과크기는 유아 평정의 효과크기보다 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천향숙(2012) 척도의 효과크기가 부적으로 가장 높았다. 교사-유아의 의존관계와 유아발달의 전체 효과크기는 낮게 나타났지만(ES=-.131), 조절변인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교사-유아의 친밀, 갈등, 의존관계와 유아발달에 관한 전체 효과크기와 더불어 조절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는 어떠한지 전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study is to synthesize the studie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 development through meta-analysis. Research papers included unpublished master’s theses, doctoral dissertations, and journals total of 93 from 2013 to 2022 (36 unpublished master’s theses, doctoral dissertations, and 57 journals). The effect size of the intimacy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 development was large (ES=.443). The effect size of boys was more significant than other groups.
The effect size of the teacher rater was more significant than that of the infant rater, and Pianta's scale (1991) showed the highest effect size. The effect size of conflict in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 development showed medium (ES=-.379). The effect size of the teacher rater was negatively larger than that of the infant rater. The effect size of Cheon's scale (2012) showed a negatively significant effect size. The effect size of dependence in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 development was small (ES=-.131), but the effect sizes depending on the moderating variables were not significant.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examined the effect siz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timacy, conflict, dependence in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 development and how the effect sizes change depending on the moderating variabl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교육정보화 이슈 분석: 교육정보화 기본계획 및 코로나19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 랜덤포레스트를 적용한 중・고등학생 학교생활만족도 영향요인 탐색
- 성소수자 학생의 학교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지정성별(assigned sex) 여성 성소수자 학생을 중심으로
- 학교폭력 축소・은폐 원인에 대한 질적 사례 분석
- 청소년기 진로성숙도 발달 양상과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동시 및 지연효과 탐색
- 초등 신규교사의 교직적응 과정과 유형
- 검정교과서 개발 체제는 집필과 선택의 다양성을 보장하는가: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 집필 및 선정 경험을 중심으로
- 제2공화국 교육정책과 오천석의 역할
-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발달에 관한 메타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