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기 진로성숙도 발달 양상과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동시 및 지연효과 탐색

이용수 260

영문명
A Study on the Changing Trajectory of Adolescents’ Career Maturity and the Contemporaneous and Lagged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Learning Motivation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백예은 정혜원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1권 제2호, 129~15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4.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시기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진로성숙도에 대한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외적 조절동기, 부과된 조절동기, 확인된 조절동기, 내재적 조절동기, 무동기)의 동시 및 지연효과를 탐색함으로써 학습동기의 자기결정성 수준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는 진로 발달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교육연구원에서 제공하는 패널자료인 경기교육 종단연구(GEPS,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의 초4 패널 4차년도(중1)에서 9차년도(고3)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로성숙도 변화 양상을 가장 잘 나타내는 모형은 비연속 분할함수 잠재성장모형으로, 청소년의 진로성숙도는 중학교 시기에 감소하다가 고등학교로 전환된 시점 이후로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결정성 학습동기가 중·고등학교 각 시점에 미치는 동시 및 지연효과를 살펴본 결과, 외적 조절동기는 중·고등학교 모든 시점에서 부적으로 유의한 동시효과가 나타났으며, 중2, 중3, 고3 시점에서 부적으로 유의한 지연효과가 나타났다. 반면 확인된 조절동기의 경우 모든 시점에서 정적으로 유의한 동시효과 및 지연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내재적 조절동기는 중1부터 고1 시점까지 정적으로 유의한 동시효과를 보였다. 더불어 무동기의 경우 모든 시점에서 부적으로 유의한 동시효과가 나타났으며 고2, 고3 시점에서 부적으로 유의한 지연효과가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동기의 유형과 진로 발달 간의 관계를 탐색함으로써 학생에게 본인의 진로 계획에 따른 교과목을 선택하는 등 학습에 대한 자기 결정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 환경을 조성하는 등의 효과적인 진로 발달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n career development, which var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self-determination of learning motivation by identifying the patterns of developmental trajectory in career maturity and testing contemporaneous and lagged effects of self determination learning motivation(intrinsic motivation, identified motivation, introjected motivation, external motivation, amotivation) on career maturity in adolescents. To do this, latent growth models were applied to GEPS 2012 data from the 4th to 9th wave (7th-12thgrad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discontinuous piecewise latent growth modeling was found to be adequate to explain the patterns of developmental trajectory of career maturity in adolescence, in which career maturity decreased during middle school period but increased during high school period. Second, the contemporaneous effects of external motivation on career maturity were negatively significant at each time point. Also, the negatively significant lagged effects were found at 8th, 10th, 12th grades. However the positively significant contemporaneous and lagged effects of identified motivation were at the every time points. In addition, the contemporaneous effects of intrinsic motivation on career maturity were positively significant at 7th to 10th grade. Moreover, the negatively significant contemporaneous effects of amotivation were found at each time point and the lagged effects of amotivation were negatively significant at 11th and 12th grad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iscusse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career development, such as creating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can increase self-determination of learning, such as selecting subjects suitable for students' care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예은,정혜원. (2023).청소년기 진로성숙도 발달 양상과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동시 및 지연효과 탐색. 교육학연구, 61 (2), 129-156

MLA

백예은,정혜원. "청소년기 진로성숙도 발달 양상과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동시 및 지연효과 탐색." 교육학연구, 61.2(2023): 129-1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