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소수자 학생의 학교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지정성별(assigned sex) 여성 성소수자 학생을 중심으로
이용수 609
- 영문명
- A Narrative Inquiry of LGBTQ Student Experience: Focusing on Sexual Minorities Female in Assigned Sex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남미자 김아람 김경미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1권 제2호, 59~91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지정성별 여성 성소수자 학생의 학교 경험에 주목하여 하나의 사회구조로서 학교가 어떻게 그들의 삶과 관계하고 있는지를 드러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들은 지정성별 여성 성소수자 학생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통해 그들과 삶을 공명하며 이야기로 삶을 풀어내고자 하였다.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가 내러티브 탐구 과정에서 함께 엮어낸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지정성별 여성 성소수자 학생들은 트위터 등과 같은 SNS를 통해서 자신의 성적 지향과 성정체성을 정체화하는 과정을 겪었으며, 그 과정에서 학교의 역할은 미비했다. 또 연구 참여자들은 주변 사람들로부터 그들의 성적 지향이나 성정체성이 부정되는 경험을 했다. 연구자들은 연구 참여자와 함께 구성한 이야기를 바탕으로, 그들의 경험을 ‘성소수자의 부정에 의한 부재’, ‘암묵적 차별과 혐오 재생산의 시공간’, ‘생존전략으로써 감추기와 앨라이 되기’라는 주제로 다시 이야기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 참여자인 성소수자 학생이 학교 안에서 ‘있어야 하지만 없어야 하는’ 존재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성소수자가 안전하고 평등한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법·제도적 장치와 성소수자 개념, 인권 등을 학교 교육과정에 포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더불어 교육과정의 실천가로서 교사의 성소수자 인권 감수성을 위한 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연구시작에 관한 이야기
Ⅱ. 성소수자 학생 관련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이야기하기: 성소수자 학생의 삶
V. 다시 이야기하기: 있지만 없(어야 하)는 학교 안 성소수자
Ⅵ. 이야기를 마치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교육정보화 이슈 분석: 교육정보화 기본계획 및 코로나19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 랜덤포레스트를 적용한 중・고등학생 학교생활만족도 영향요인 탐색
- 성소수자 학생의 학교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지정성별(assigned sex) 여성 성소수자 학생을 중심으로
- 학교폭력 축소・은폐 원인에 대한 질적 사례 분석
- 청소년기 진로성숙도 발달 양상과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동시 및 지연효과 탐색
- 초등 신규교사의 교직적응 과정과 유형
- 검정교과서 개발 체제는 집필과 선택의 다양성을 보장하는가: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 집필 및 선정 경험을 중심으로
- 제2공화국 교육정책과 오천석의 역할
-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발달에 관한 메타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