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신규교사의 교직적응 과정과 유형
이용수 401
- 영문명
- A Study on Process and Types of Novice Teachers’ Induction in Elementary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혜영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1권 제2호, 157~196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질적 연구의 전략 중 하나인 근거이론을 통해 우리나라 초등 신규교사의 교직적응 과정을 도출하고 그 유형을 탐색적으로 이론화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교직경력 3년 이내의 초등 정규 교사로 한정하고 전국단위로 총 25명을 선정하였다. 학교 소재지의 규모와 단위학교의 풍토 등을 고려하여 특별시 1개, 광역시 2개, 중소도시 2개, 읍면 지역 1개의 6개 집단으로 구성하고 초점집단면담(FGI)을 실시하여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신규교사들은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과 직접 부딪히면서 교직 수행과 관련된 다양한 방법을 연구하고 적용하는 반복적 과정을 통해 성공과 실패를 경험하고 자신만의 교육실천 방향을 정립해 간다. 둘째, 신규교사들은 부장교사, 동료교사 등 인적자원을 적극 활용하여 학교에서 마주치는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노력하였고, 문제 상황을 차단하고 자기합리화하기도 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자기만의 생존전략을 찾는 방식 등으로 교직 수행의 어려움을 극복하면서 점차 적응해 가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전략 활용의 과정에서 순차적으로 ‘불안’, ‘탐색’, ‘조정’, ‘정립’이라는 교직적응의 네 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 연구의 중심 주제인 신규교사의 교직적응은 ‘교직 수행의 어려움 극복 과정에서 실천 방향을 정립하여 교육전문가로 발돋움하기’로 집약되었으며, 구체적인 교직적응의 양상은 ‘고군분투형’, ‘내적고심형’, ‘무난순탄형’의 세 유형으로 최종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본 연구의 주요 결과가 기존 신규교사 교직적응의 학술적ㆍ실천적 논의에 어떠한 시사점을 가지는지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types of novice teachers’ induction process in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Main participants are 25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se working experiences are less than three years. Focus group interviews are conducted in a total of 6 groups based on school locations for collecting qualitative data.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novice teachers experience educational success and failure in an iterative cycle while working with students at schools. Second, they have induced to teaching profession, when they tried to solve problems with a help from colleagues, rationalize their own decisions, and/or search for survival strategies at schools. This explains four steps of anxiety, searching, adjustment and establishment. Third, the novice teacher’s induction is defined as a process of leaping forward and establishing teaching profession as their identities. Three types of fighting alone, inner consideration, easy and smooth are concluded. At last, this study discusses theoretical and practical meaning of its findings for investigating novice teacher’s induc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교육정보화 이슈 분석: 교육정보화 기본계획 및 코로나19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 랜덤포레스트를 적용한 중・고등학생 학교생활만족도 영향요인 탐색
- 성소수자 학생의 학교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지정성별(assigned sex) 여성 성소수자 학생을 중심으로
- 학교폭력 축소・은폐 원인에 대한 질적 사례 분석
- 청소년기 진로성숙도 발달 양상과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동시 및 지연효과 탐색
- 초등 신규교사의 교직적응 과정과 유형
- 검정교과서 개발 체제는 집필과 선택의 다양성을 보장하는가: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 집필 및 선정 경험을 중심으로
- 제2공화국 교육정책과 오천석의 역할
-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발달에 관한 메타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