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교육정보화 이슈 분석: 교육정보화 기본계획 및 코로나19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이용수 150
- 영문명
- Discovering Trend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Education Using Topic Modeling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정유경 송종대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1권 제2호, 1~3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교육정보화 정책의 사회적 방향성을 탐색하기 위해 교육정보화 기본계획이 최초 수립된 1996년부터 2022년까지 27년간의 뉴스 기사를 구조적 토픽모델링(Structural Topic Modeling, ST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첫째, 교육정보화 정책의 차수별 핵심 주제 변화의 흐름을 살피며, 둘째, 비대면 온라인교육으로의 급격한 변화를 야기한 코로나19 이후에 주목받은 주제가 무엇인지 밝히고, 마지막으로 교육정보화의 정책적 및 학문적 영역을 중심으로 관련 토픽들의 변화 양상을 논의하였다. 첫 번째, 시기별 변화에 대한 분석결과는 교육정보화 분야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단순한 인프라 구축에서 더 나아가 국내외 사회적 통합을 도모하기 위한 활동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두 번째, 코로나19 발생 이후 소외계층 지원 및 해외원조 등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고 지원하는 토픽이 많은 관심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특정 요인에 대한 토픽이 다른 토픽에 비하여 편중되면서 상대적으로 관심을 받지 못하는 주제가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발견을 통해, 본 논문은 향후 연구주제 및 정책 방향 수립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교육정보화에 대하여 더욱 균형 있고 다채로운 사회적 논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mploys structural topic modeling (STM) to examine the issues and trend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in education, analyzing newspaper data spanning from 1996, when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its initial Basic Plan for ICT in education, to 202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ollowing: (a) the primary topics of ICT in education and their changing trends in each period of the basic plan, (b) emerging topics post-Covid-19, and (c) trends in the topics in the context of the policy and academic components necessary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CT in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STM, this study determines that (a) the primary topic has transitioned from infrastructure development to the inclusion of the marginalized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ways, (b) topics related to social integration and educational equity have emerged post-Covid-19, and (c) topics for ICT in education are limited in scope and unequally distributed. This research aims to enhance and enrich scientific inquiry and policy development regarding ICT in education and suggests the need for varied and balanced discussions on the development of ICT in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결과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교육정보화 이슈 분석: 교육정보화 기본계획 및 코로나19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 랜덤포레스트를 적용한 중・고등학생 학교생활만족도 영향요인 탐색
- 성소수자 학생의 학교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지정성별(assigned sex) 여성 성소수자 학생을 중심으로
- 학교폭력 축소・은폐 원인에 대한 질적 사례 분석
- 청소년기 진로성숙도 발달 양상과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동시 및 지연효과 탐색
- 초등 신규교사의 교직적응 과정과 유형
- 검정교과서 개발 체제는 집필과 선택의 다양성을 보장하는가: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 집필 및 선정 경험을 중심으로
- 제2공화국 교육정책과 오천석의 역할
-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발달에 관한 메타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