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 대학생의 이성 교제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탐구

이용수 64

영문명
A Phenomenological Inquiry into the Dating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저자명
이나영 정재석
간행물 정보
『복지상담교육연구』제12권 제1호, 203~22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4.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 대학생이 이성 교제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Giorgi(2012)가 제안한 현상학적 탐구 방법으로 장애 대학생의 이성 교제 범주와 하위구성요소를 파악하였다. 이성 교제 경험이 한 번 이상 있는 10명의 장애 대학생을 대상으로 2022년 09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2개월 동안 총 4회의 포커스그룹인터뷰(FGI)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의미 단위 36개, 하위구성요소 13개, 구성요소 3개가 도출되었다. 이성 교제 경험의 3개 범주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는 이성 교제 시 겪는 어려움, 이성 교제 시 애정 표현, 이성 교제 후 변화이다. 첫째 이성 교제 시 어려움의 하위 구성요소는 5개로 주변의 시선과 부모님의 걱정, 장애로 인한 심리적 불안감, 자신의 신체적 불편함에 대한 호소, 편의시설 미비로 인한 장소 선택 및 활동 제약에 대한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성 교제 시 애정 표현의 하위구성요소는 2개로, 소극적 애정 표현, 성관계 시도 후 인식변화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 대학생의 이성 교제 후 변화 하위구성요소는 6개로, 자아정체성 형성, 자기 계발, 심리적 안정, 장애 수용, 대인관계 증진, 다양한 감정 경험으로 드러났다. 장애를 가진 대학생의 이성 교제 경험이 어떤 의미나 가치를 가지는지 질적 연구를 통해 심층적으로 분석한 본 연구 결과는 장애 대학생의 이성 교제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논의를 확장하는 데 의의가 있으며, 상담 및 교육 현장에서 이들의 이성 교제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나 커플 상담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 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kind of experiences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through dating with the opposite sex and what the meaning of that experience i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categories and subcomponents of dating of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identified using the phenomenological inquiry method proposed by Giorgi (2012). A total of 4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for 2 months from September 2022 to November 2022 with 10 disabled college students who had at least one dating experie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36 semantic units, 13 subcomponents, and 3 components were derived. The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three categories of dating experience are difficulties experienced during dating, expressions of affection during dating, and changes after dating. First, there are 5 sub-components of difficulty in dating, which are attention from surroundings, parents' worries, psychological anxiety due to disability, complaints of one's own physical discomfort, and difficulty in choosing a place and activity restrictions due to lack of convenience facilities. Second, there were two sub-components of expression of affection during dating, passive expression of affection and change in perception after attempting sexual intercourse. Third, there are 6 subcomponents of change after dating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ich were revealed as self-identity formation, self-development, psychological stability, acceptance of disability, promo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various emotional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in-depth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on the meaning and value of dating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meaningful in expand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ussions on dating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used as a useful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dating of the opposite sex in the field or for couple counsel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나영,정재석. (2023).장애 대학생의 이성 교제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탐구. 복지상담교육연구, 12 (1), 203-224

MLA

이나영,정재석. "장애 대학생의 이성 교제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탐구." 복지상담교육연구, 12.1(2023): 203-2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