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태체계적 관점과 강점관점의 사회복지 실천 적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초점집단면접기법
이용수 461
-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ocial Workers’ Practical Perspectives: Focus Group Interview
- 발행기관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저자명
- 김희수 최선희
- 간행물 정보
- 『복지상담교육연구』제12권 제1호, 111~149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실천 관점 적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로 생태체계적 관점과 강점관점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이해와 실천 경험을 파악함으로써 사회복지 전문성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함의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자료는 총 8명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통하여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생태체계적 관점은 개인과 환경에 대한 이해로 ‘환경과의 관계 속에 있는 개인’으로 클라이언트를 인식하였으며, ‘자원과 문제의 원인으로서의 환경’으로 환경체계를 이해하였다. 생태체계적 관점 적용은 ‘개인과 환경을 모두 고려한 사정’, ‘환경과의 연결이 목표’, ‘실행 과정에 환경을 포함’하는 형태로 나타났으며, ‘어려움’도 있었다. 강점관점은 ‘삶에 대한 주도성을 존중’하며, ‘능력과 가능성을 가진 존재’로 클라이언트를 이해하였고, ‘긍정적인 것에 초점’을 두는 실천원칙을 가지고, ‘클라이언트에게서 출발’하여 ‘클라이언트의 역량을 근거로 실천 과정을 진행’하며 ‘클라이언트의 역량 강화’, ‘클라이언트와 협력’하는 모습으로 실천에 적용되었다. 강점관점 적용의 결과 ‘클라이언트의 변화’와 ‘사회복지사의 변화’가 나타났고, 반면에 ‘어려움’도 있었다. 또한 두 관점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관차원의 노력’과 ‘학습과 훈련’이 필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두 관점의 실천 적용과 사회복지실천 전문성 강화를 위한 논의 및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on social workers’ application of practical persp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the implications necessary to improve the competencies of social workers by identifying their understanding and practical experience of the eco-system perspective and strengths perspectives. Data were collected from 8 practitioner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6 themes from the eco-system perspective are ‘person in the environment’, ‘environment as a source of resources and problem’, ‘assessing client and the environment all inclusive’, ‘the purpose which is connecting with client and environment’, ‘intervention process which is including the environment’, ‘having difficulties’, 10 themes from strengths perspective are ‘respect for client’s initiative in life’, ‘having the ability and potentiality’, ‘focusing on the positive’, ‘from the client’, ‘practice process based on client’s capabilities’, ‘empowerment’, ‘working with clients’, ‘change of clients’, ‘change of social workers’, ‘having difficulties’, and 2 themes from the necessary to apply both two perspectives are ‘institutional efforts’, ‘learning and training’. Based on these results, proposals are presented to apply the two perspectives to practice and strengthen social work practice expertise.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황장애 발생과정에서 나타난 청소년 내담자의 가족 역동과 심리적 경험에 관한 단일사례연구
- 가정폭력 동행상담이 역기능적 가족문화 개선에 미치는 영향
- 자아분화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그릿의 조절효과
- 생태체계적 관점과 강점관점의 사회복지 실천 적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초점집단면접기법
- 대학생의 자기개념과 성취동기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비정규직 노동자의 심리적 어려움에 대한 질적 연구: 근로계약 체결 반복 경험을 중심으로
- 장애 대학생의 이성 교제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탐구
- 보육교사의 총근무시간과 스트레스 반응에 따른 휴게시간의 매개효과
- 상담자의 개인-환경 적합성과 직무 스트레스 관계에서 일의 의미와 직무환경의 조절효과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