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정규직 노동자의 심리적 어려움에 대한 질적 연구: 근로계약 체결 반복 경험을 중심으로
이용수 108
-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Non-regular workers: Focusing on Repeated Experiences of Signing Labor Contracts
- 발행기관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저자명
- 남주연 왕은자
- 간행물 정보
- 『복지상담교육연구』제12권 제1호, 151~17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비정규직 노동자가 고용을 유지하기 위해 ‘계약해지․재계약체결’의 근로계약 체결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현상을 살펴보고 이 경험이 갖는 본질과 의미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비정규직으로 일하며 근로계약 체결을 반복적으로 경험한 비정규직 노동자 6명을 심층면접 하였고, 수집된 인터뷰 자료를 Giorgi(2009)의 기술적 현상학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근로계약 체결을 반복하는 비정규직 노동자의 심리적 어려움의 경험은 6개의 구성요소와 14개의 하위 구성요소로 도출되었다. 6개의 구성요소는 ‘희망고문이 시작됨’, ‘재계약의 올무에 걸려 발버둥 침’, ‘삶으로 번지는 상대적 박탈감’, ‘근로계약이 일의 의미를 조형함’, ‘가장의 책임감은 준엄함’, ‘노조가 버팀목이 되어 내일을 만들어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정규직 노동자의 근로계약 체결 반복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비정규직 노동자의 심리적 어려움에 대한 이해와 고용불안에 대한 인식의 폭을 넓히고, 이들의 경험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를 위한 기초를 제공함으로써 이들을 위한 전문적 조력 및 개입방안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henomenon that non-regular workers experience subjectively in the process of repeatedly signing contracts of ‘termination and renewal of contracts’ in order to maintain employment, and to derive the essence and meaning of this experience.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non-regular workers who had repeatedly experienced the conclusion of labor contracts while working as non-regular workers, and the collected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descriptive phenomenology research method of Giorgi (2009).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xperience of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non-regular workers who repeatedly signed labor contracts was derived with 6 components and 14 sub-components. The six components are ‘hope torture begins’, ‘struggling in the snare of renewal contract’, ‘relative deprivation spreads through life’, ‘employment contract shapes the meaning of work’, and ‘the responsibility of the head of the family is strict’, appeared as ‘The union becomes a support and creates tomorrow’. This study seeks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non-regular workers and their awareness of job insecurity by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non-regular workers repeatedly signing labor contracts, and to provide a basis for in-depth discussions on their experiences to provide a professional solution for them.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the implications of assistance and intervention measur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황장애 발생과정에서 나타난 청소년 내담자의 가족 역동과 심리적 경험에 관한 단일사례연구
- 가정폭력 동행상담이 역기능적 가족문화 개선에 미치는 영향
- 자아분화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그릿의 조절효과
- 생태체계적 관점과 강점관점의 사회복지 실천 적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초점집단면접기법
- 대학생의 자기개념과 성취동기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비정규직 노동자의 심리적 어려움에 대한 질적 연구: 근로계약 체결 반복 경험을 중심으로
- 장애 대학생의 이성 교제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탐구
- 보육교사의 총근무시간과 스트레스 반응에 따른 휴게시간의 매개효과
- 상담자의 개인-환경 적합성과 직무 스트레스 관계에서 일의 의미와 직무환경의 조절효과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