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자기개념과 성취동기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65
- 영문명
- Effects of the Self-Concept and Achievement Motivation on Social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저자명
- 하수경
- 간행물 정보
- 『복지상담교육연구』제12권 제1호, 37~5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자기개념과 성취동기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K지역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기개념, 성취동기, 발표불안, 수행불안 및 상호작용불안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353부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변인간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자기개념과 성취동기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개념은 성취동기와 정적상관이었고 자기개념과 성취동기는 사회불안과는 부적상관이었다. 즉 자기개념이 긍정적일수록 성취동기는 높았으며 자기개념과 성취동기가 긍정적일수록 발표불안, 수행불안 및 상호작용불안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발표불안, 수행불안 및 상호작용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은 자기개념이었으며 부적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의의는 대학생의 사회불안을 상담적 관점에서 인지구조에 해당되는 자기개념의 특정영역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elf-concept and achievement motivation on social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K areas.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self-concept, achievement motivation, speech anxiety, social phobia,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test and included total 353.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lf-concept and achievement motivation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ut self-concept, achievement motivation and speech anxiety, social phobia, social interaction anxiety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y looking at these results,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more self-concept as they have high more achievement motivation and more self-concept and achievement motivation as they have low speech anxiety, social phobia,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Secon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relation of speech anxiety, social phobia,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self-concept variable were the main predictor and negative effec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hat specifically examined self-concept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structure from a counseling perspective on social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황장애 발생과정에서 나타난 청소년 내담자의 가족 역동과 심리적 경험에 관한 단일사례연구
- 가정폭력 동행상담이 역기능적 가족문화 개선에 미치는 영향
- 자아분화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그릿의 조절효과
- 생태체계적 관점과 강점관점의 사회복지 실천 적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초점집단면접기법
- 대학생의 자기개념과 성취동기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비정규직 노동자의 심리적 어려움에 대한 질적 연구: 근로계약 체결 반복 경험을 중심으로
- 장애 대학생의 이성 교제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탐구
- 보육교사의 총근무시간과 스트레스 반응에 따른 휴게시간의 매개효과
- 상담자의 개인-환경 적합성과 직무 스트레스 관계에서 일의 의미와 직무환경의 조절효과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