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황장애 발생과정에서 나타난 청소년 내담자의 가족 역동과 심리적 경험에 관한 단일사례연구
이용수 256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Family Dynamics and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a Adolescent Client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Panic Disorder
- 발행기관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저자명
- 문혜린 박태영 김경욱 현일송 서민순
- 간행물 정보
- 『복지상담교육연구』제12권 제1호, 83~11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기에 공황장애 발병을 경험한 내담자의 가족치료 사례에 나타난 내담자의 경험을 분석하여 공황장애의 발생 단계에서 나타난 내담자의 경험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사례연구방법과 자료 분석을 위하여 주제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황장애의 발생 단계로서 첫째, 유기불안의 형성 단계, 둘째, 감정의 억압 단계, 셋째, 상실에 대한 두려움 단계, 넷째, 유기불안의 재경험 단계가 나타났다. 공황장애 발생 단계로서 네 단계에서는 단계에 따라 위기 상황에 대한 가족의 역동, 그로 인한 내담자 개인의 핵심 정서가 증상의 발현을 유발하였다. 본 연구는 공황장애를 발병시킨 맥락을 단계별로 제시하였으며, 단계별로 위기상황과 가족 역동, 핵심 정서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a family therapy case of an adolescent with panic disorder(PD). We examined experiences of client and her family in the stage of panic disorder.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used the thematic analysis method to analyze implicit and explicit ideas from the counseling transcript and counseling log. Also, the researchers utilized the network to display the results of stud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PD was as follows: First, fear of abandonment, second, oppressed emotion, third, fear of loss, fourth, re-experiencing of abandonment. We identified four stages of the psychological process in the development of PD and examined external situations, family dynamics, core affect at each stag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the context in which panic disorder developed step by step,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risis situations, family dynamics, and core affect in each step.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황장애 발생과정에서 나타난 청소년 내담자의 가족 역동과 심리적 경험에 관한 단일사례연구
- 가정폭력 동행상담이 역기능적 가족문화 개선에 미치는 영향
- 자아분화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그릿의 조절효과
- 생태체계적 관점과 강점관점의 사회복지 실천 적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초점집단면접기법
- 대학생의 자기개념과 성취동기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비정규직 노동자의 심리적 어려움에 대한 질적 연구: 근로계약 체결 반복 경험을 중심으로
- 장애 대학생의 이성 교제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탐구
- 보육교사의 총근무시간과 스트레스 반응에 따른 휴게시간의 매개효과
- 상담자의 개인-환경 적합성과 직무 스트레스 관계에서 일의 의미와 직무환경의 조절효과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