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130
- 영문명
-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Self-Leadership on Career Maturit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발행기관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저자명
- 고수현 김태량
- 간행물 정보
- 『복지상담교육연구』제12권 제1호, 1~35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실증적 조사연구는 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 요인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기초로 대학이나 지역사회에서 대학생의 진로발달과 진로성숙도를 고취하기 위한 진로상담개입의 전략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및 부산광역시/경상남도 지역에 소재하는 4년제 대학교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2022년 8월부터 10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셀프리더십의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셀프리더십의 수준이 높을수록 긍정심리자본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긍정심리자본의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셀프리더십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실증적 연구 결과는 생애주기에서 예비사회인으로서 진로선택과 진로의사결정의 변곡점 시기에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대학의 진로(직업)교육과 진로(직업)상담에서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함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empirical research study aim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elf-leadership factors and their career maturity. Based on this, the purpose is to seek career counseling intervention strategies to promote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maturity of college students in universities and local communities. To achieve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to October 2022 targeting students at 4-year universities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Gyeongsangbuk-do and Busan Metropolitan City/Gyeongsangnam-do regions. The data collected as a result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elf-leadership, the higher the degree of career maturity.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elf-leadership, the higher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higher the career maturity.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career maturit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s been verifie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ese empirical research results hav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llege career (vocational) education and career (vocational) counseling for college students at the inflection point of career choice and career decision-making as prospective members of society in the life cycl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황장애 발생과정에서 나타난 청소년 내담자의 가족 역동과 심리적 경험에 관한 단일사례연구
- 가정폭력 동행상담이 역기능적 가족문화 개선에 미치는 영향
- 자아분화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그릿의 조절효과
- 생태체계적 관점과 강점관점의 사회복지 실천 적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초점집단면접기법
- 대학생의 자기개념과 성취동기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비정규직 노동자의 심리적 어려움에 대한 질적 연구: 근로계약 체결 반복 경험을 중심으로
- 장애 대학생의 이성 교제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탐구
- 보육교사의 총근무시간과 스트레스 반응에 따른 휴게시간의 매개효과
- 상담자의 개인-환경 적합성과 직무 스트레스 관계에서 일의 의미와 직무환경의 조절효과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