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19 감염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병동생활경험-미술에 기반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74
- 영문명
- An Art Based Narrative Inquiry on the Experience of Nurses Working in a COVID-19 Ward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이민주 김갑숙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30권 제2호, 451~47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1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 감염병동 간호사의 병동생활 경험에 대한 풍부한 이해와 의미를 찾기 위해 미술에 기반한 내러티브 탐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대구시 코로나19 감염병동에 근무하는 30대 여성 간호사 2명이다. 현장텍스트는 2021년 4월부터 2021년 6월까지 8회기에 걸친 인터뷰와 미술 작업을 통해 참여자의 녹취 자료, 미술작품 등을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내러티브 탐구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을 고려하며 작성하였다. 병동생활 경험에 관한 이야기는 <간호사로 살아가다>, <코로나19의 최전방에서>, <일상의 회복을 꿈꾸며>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이를 통해 이해한 삶의 의미는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곳에서의 고된 삶>, <삶과 죽음의 기로에서 인간의 존엄성을 되새김>, <간호사로서 자부심을 느낌>, <미술 작업은 자기돌봄의 기회가 됨>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적 정당성, 실제적 정당성, 사회적 정당성의 맥락에서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n art based narrative inquiry to gain a rich understanding of nurses' experience of working in an infectious disease ward for COVID-19 patients and explore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The participants were two female nurses in their 30s working in a COVID-19 ward of a hospital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field texts were collected from interview with the participants and a total of 8 art therapy sessions from April to June, 2021. The collected data included the interview recordings and art therapy sessions and participants' artworks created during the therapy. The research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narrative inquiry. considering that the framework of the three-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 composed. The storie themes of the ward experience were constructed as follows: ‘Living as a nurse', ‘At the frontline of the war against COVID-19', and ‘Dreaming of a return to normal daily life'. The meanings the analysis were described as follows: ‘A hard life in a place where they cannot even guess what will happen in the next moment', ‘Remembering human dignity at the crossroads of life and death', ‘Feeling proud as a nurse,' and ‘Art-making has become an opportunity for self-care.' Based on these results, the meanings of the experience of art therapy were discussed in the contexts of personal, practical, and social justific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치료사 역량평가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 코로나19 감염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병동생활경험-미술에 기반한 내러티브 탐구
- 그리스 여신 원형을 통한 미술치료사의 개성화과정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방 그림의 투사검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화가들의 방 그림과 대학생의 방 그림을 중심으로
- 비침습적 측정 방법을 활용한 미술치료 연구동향: 국내․외 학술지 중심으로
- 애착외상을 입은 아동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미술치료 초심 수퍼바이저의 체험연구 - 역할전환 과정을 중심으로
- ‘존재의 집’을 찾아가는 미술치료사의 자전적 탐구
- 보호관찰 청소년과 만나는 미술치료사의 경험 탐구
- 소아암 환아의 정서적 안정을 위한 부모상담 병행 비대면 미술치료 사례연구
- 창작 스트레스를 겪는 대중음악 작곡가의 미술치료 체험연구
- 30대 기혼남성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현실요법미술치료 사례연구
- 방임을 경험한 다문화 가정 아동의 정서표현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사회심리발달연구 제5권 2호 목차
- 보육교사의 원장-교사 교환관계와 이직의도 관계에서 과업갈등과 직무만족의 순차적 매개효과
- 성별에 따른 중학생의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조절곤란, 비자살적 자해 간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된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