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방 그림의 투사검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화가들의 방 그림과 대학생의 방 그림을 중심으로
이용수 50
- 영문명
- Basic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Projection Test of Room Drawing - Focusing on Room Paintings of Artists and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손혜주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30권 제2호, 431~45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1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방 그림을 투사검사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연구목표는 개인의 삶에 중요한 공간인 방을 그리는 것이 개인의 삶에 대한 투사적 가치를 가진다고 보고, 그림검사에 활용할 수 있도록 방 그림의 해석적 의미 단위를 얻는 것이다. 목표에 따른 연구대상은 화가들의 방 그림과 대학생들의 임상 방 그림이다. 방의 전체적인 이야기와 의미요소를 얻기 위해, 방을 주요 오브제로 일생의 중요한 시기를 표현한 세 명의 화가들의 방 그림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문헌 분석하였으며, 또한 실제 방 그림의 임상적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성인으로서 독립을 주요과업으로 하는 대학생들의 방 그림을 그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참여한 대상은 D 시와 P 시의 4개 대학 학생 270명이며 이중 26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화가들의 방 그림에는 독립된 자기 세계로 나가는 변화와 성장의 과정, 휴식, 성숙한 방어기제의 의미가 상징적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의 방 그림에서는 표상적 의미와 함께 대학생들의 자아개념과 심리적 독립상태를 보다 직접 이해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른 투사검사들과 변별되는 방 그림만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inquiry was a basic study to develop a room painting as a projection test, and the goal was to obtain an analytical meaning of the room painting and to prove the projective value of drawing a room as an important space for the individual's life. The subjects of the study according to the goal are room paintings of artists’ and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obtain the overall story and meaning of the room, three artists’paintings expressing important periods of their lives as major objects and the paintings of college students who were independent as adult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 participants were 270 students from four universities in D City and P City, and their 263 paintings were analyzed. Resultingly, the artists' room paintings symbolically showed the meaning of the changing and growing process, rest, and mature defense mechanism. From the college students’paintings, the researcher could directly understand the self-concept and psychological independence of students. Research results shone light on the distinguishable characteristics of the room picture from other projection test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 과
Ⅳ.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치료사 역량평가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 코로나19 감염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병동생활경험-미술에 기반한 내러티브 탐구
- 그리스 여신 원형을 통한 미술치료사의 개성화과정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방 그림의 투사검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화가들의 방 그림과 대학생의 방 그림을 중심으로
- 비침습적 측정 방법을 활용한 미술치료 연구동향: 국내․외 학술지 중심으로
- 애착외상을 입은 아동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미술치료 초심 수퍼바이저의 체험연구 - 역할전환 과정을 중심으로
- ‘존재의 집’을 찾아가는 미술치료사의 자전적 탐구
- 보호관찰 청소년과 만나는 미술치료사의 경험 탐구
- 소아암 환아의 정서적 안정을 위한 부모상담 병행 비대면 미술치료 사례연구
- 창작 스트레스를 겪는 대중음악 작곡가의 미술치료 체험연구
- 30대 기혼남성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현실요법미술치료 사례연구
- 방임을 경험한 다문화 가정 아동의 정서표현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청소년의 체질량지수, 신체적 자아상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