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칸들의 선물, 황제의 은혜

이용수 52

영문명
Gift of Khans, Bestowment by the Emperor: Manchu and Mongol Relations and Gift Exchange in Early Qing
발행기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이선애
간행물 정보
『동국사학』제75집, 217~267쪽, 전체 5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8,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누르하치 시기 만주 한(han, 汗)와 몽골 왕공이 대등한 관계에서 교환한 예물들은 이후 홍타이지가 내몽골을 ‘外藩蒙古’로 만드는 과정에서 進貢品으로 바뀌게 되었다. 天聰5년 경부터 받는 것보다 더 많이 주거나 받지 않고 주기만 하는 비대칭적 예물교환의 관례가 현저해졌지만 홍타이지는 경제적 가치가 높고 당장 필요한 비단과 의복, 보석 등의 물품은 수령했다. 그리고 만주 정권이 명과 조선으로부터 직간접적으로 입수한 물자들은 하사와 교역의 방식으로 내몽골 왕공들에게 재분배되었다. 이처럼 후금-청 초기 몽골 부족들이 만주 황제에게 바치는 진공품에는 경제적 가치가 내재했으며 17세기 만주-몽골-조선-명의 물품들은 다양한 방식과 통로로 순환했다. 崇德 원년 이후 마련된 조공 예물에 대한 초보적인 규정들은 순치 연간을 거쳐 제도적인 면모를 갖추기 시작해 건륭 연간에 완비된 제도로 정립되었다. 入關 前 만주와 몽골의 관계에서 형성된 관례와 규정들이 청대 외번 조근·조공 제도의 기원이 된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e course of Inner Mongolia being transformed into Mongolian nobles in the outer feudatories of the Qing empire (Waifan menggu ) by Hong Taiji, the gifts exchange between the Manchu Khan and the Mongol princes on an equal footing during the Nurhachi period changed to tributary system. From the fifth year of Tiancong, the custom of asymmetrical gift exchange became prominent, while Hong Taiji generally accepted items of high economic value and immediate necessity such as silk, clothes, and jewelry. The goods obtained by the Manchu regime directly or indirectly from Ming and Joseon were redistributed to the Inner Mongol princes in the form of bestowment and trade. As such, the tributes presented by the Mongol tribes in the Later Jin the early Qing to the Manchu emperor had economic value, and the goods of Manchu, Mongol, Joseon, and Ming circulated in various ways and through numerous channels in the 17th century. The rudimentary regulations for tributes that were established after the first year of Chongde began to take on more developed institutional aspects during the reign of Shunzhi, and were established as a complete system during the reign of Qianlong. The annual visits and tributes by the Mongol nobles in the outer feudatories of the Qing empire, and the system of subsequent banquet ceremony and bestowment as the emperor’s reward were also establsihed through this long-term process. The customs and regulations formed between Manchu and Mongol before the conquest of China in 1644 (or ruguan qian ), became the origins of the system of annual visits and tributes by Mongol nobles in the Qing dynasty.

목차

Ⅰ. 머리말
Ⅱ. 칸들의 선물: 天命 年間 만주-몽골의 예물교환
Ⅲ. 天聰 年間 이후 예물교환의 양상
Ⅳ. 황제의 은혜: 崇德 年間 이후 進貢과 回賜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선애. (2022).칸들의 선물, 황제의 은혜. 동국사학, (), 217-267

MLA

이선애. "칸들의 선물, 황제의 은혜." 동국사학, (2022): 217-2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