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대 금강산 권역의 사찰 현황과 불교사적 의미

이용수 93

영문명
The Current Status of Buddhist Temples in the Modern Mt. Geumgang Area and Their Meaning of Buddhist History
발행기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김성연
간행물 정보
『동국사학』제75집, 109~14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근대 금강산 사찰들의 수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유람록과 각종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그 현황을 정리한 것이다. 먼저 조선 후기의 관찬지리지에는 대략 30개소 정도의 사찰이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양반 사대부들의 유람록을 보면, 100개 이상의 사암(寺庵)이 금강산에 존재했다고 한다. 이러한 차이는 일정한 규모와 전통성을 지니고 유지·관리되었던 사암과 단지 수행을 위한 기도처 정도의 암자들로 시기에 따라 존폐를 거듭했던 정황들이 합쳐져 각기 찬술 목적에 따라 다르게 반영된 까닭이다. 근대 금강산 사찰의 현황은 19세기 말과 일제강점기의 두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19세기 말은 두 편의 금강산 유람록을 바탕으로 했는데, 두 기록에서도 금강산의 사찰은 대략 30개소 정도가 유지되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기존 사암들의 존폐 정황과 승려에 대한 인식 등이 서술되어 있어 금강산 불교의 변화상을 유추하는데 도움이 된다. 일제강점기에는 금강산 사찰들의 본산인 유점사가 발행한 자료들과 교단 중앙에서 발간한 자료에서 보이는 사찰 통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들 자료에서는 대략 35~39개 정도의 사찰이 유지되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역사성, 전통성을 간직한 금강산의 사찰들은 일제강점기에 관광지로 개발되면서 근대성의 표상이자 민족 정체성을 지닌 곳으로 변화하였다. 일제의 간섭과 통치 속에서 민족적 자립과 자각을 요구하는 민족성 고취의 대상으로 인식되기도 했던 것이다. 그리고 남과 북으로 분단된 오늘날에는 통일의 물고를 틀 중요한 매개 역할이 되기도 한다. 이미 금강산 관광이 시도되면서 남과 북의 협력으로 신계사가 복원되기도 했다. 남과 북의 정치적 문제와는 별도로 역사와 전통을 공유하고 미래지향적인 협력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금강산 사찰에 불교사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summarizes the information based on travel records and various statistical data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buddhist temples in the modern Geumgang Mountain area. According to the official geography book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 can see that there were about 30 buddhist temples. However, it is said that there were more than 100 temples in the travel records written by the aristocrats. This difference is because the number of temples was recogniz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urpose of publication, the government data recorded temples with a large size and tradition, and the travel records of the aristocrats recorded all small hermitages. In this article, the current status of temples in the modern Geumgang Mountain area was examined by dividing it into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the colonial period. The current situation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as examined through two travel record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about 30 temples. In addition, the travel records described the images of temples and monks, which helped to examine the changes in Buddhism in the Mt. Geumgang area. Yujeomsa Temple, which was the headquarters of temples in the Mt. Geumgang area during the colonial period, published various data to report to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we can grasp the current status of the temples through it. These data indicate that about 35 to 39 temples were located in the Mt. Geumgang area. The historical and traditional temples of Mt. Geumgang became a symbol of modernity as they were developed as a tourist destina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On the other hand, Mt. Geumgang was recognized as a place to represent the independence and identity of the nation in the intervention and rule of Japan. Today, divided into South and North Korea, the temples of Mt. Geumgang can serve as the key to reunification. Singyesa Temple in Mt. Geumgang has already been restored through cooperation of both sides. Both South and North Korea share the history and tradition of Mt. Geumgang. Therefore, the temples of Mt. Geumgang have Buddhist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at they can lead to future-oriented cooperation for reunification of both sides.

목차

Ⅰ. 머리말
Ⅱ. 19세기 말 금강산의 사찰 추이
Ⅲ. 일제강점기 금강산의 사찰 현황
Ⅳ. 근대 금강산 권역 사찰의 불교사적 의미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연. (2022).근대 금강산 권역의 사찰 현황과 불교사적 의미. 동국사학, (), 109-140

MLA

김성연. "근대 금강산 권역의 사찰 현황과 불교사적 의미." 동국사학, (2022): 109-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