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동북지역의 3·1운동

이용수 66

영문명
The 3·1 Movement in the Northeast Part of China
발행기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김춘선 최광복
간행물 정보
『동국사학』제75집, 141~187쪽, 전체 4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8,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국 동북지역은 일제의 조선강점시기 한민족의 항일독립운동의 주요한 활동무대였다. 1919년 조선에서 3·1운동이 일어나자 이에 호응하여 중국 동북지역의 한인 집거지구에서는 성세호대한 반일집회와 시위가 전개되어 조선의 3·1운동을 유력하게 성원하였으며 일제의 조선에 대한 식민통치는 물론이고 나아가 대륙침략 정책에도 커다란 타격을 주었다. 본 연구는 서론과 결론을 제외하고 두 개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 부분에서는 먼저 1919년 3월 13일부터 조선 국내의 3·1운동을 성원하기 위해 북간도 용정촌에서 전개되었던 3·13반일시위운동의 발발과 전개과정을 살펴보았으며, 다음으로 용정촌의 3·13반일시위운동이 전 동북지역 한인집거구로 신속히 파급되면서 각 지역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전개된 반일시위운동을 지역별로 나누어 상세히 비교, 분석하였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용정촌의 3·13반일시위운동을 효시로 전 동북지역에서 전개된 반일시위운동의 지역별 특징과 의의 및 그 영향에 대하여 총체적으로 규명하였다. 1919년 3월부터 4월까지에 걸쳐 중국 동북지역 조선족집거지역에서 전개된 각종 반일집회와 반일시위운동은 그 규모와 시간상에서 전례 없는 것이었다. 이번 운동은 러시아 10월혁명과 제1차 세계대전이후 고조된 민족자결주의 그리고 조선을 비롯한 식민지, 반식민지 국가들의 독립과 민족해방을 위한 기대가 한층 성숙되어 있던 국제적 환경에서 중국 동북지역 한인들이 조선의 3·1운동을 성원하기 위해 진행한 평화적이고 거족적인 반일시위운동이었다. 이번 운동에서 한인동포들은 집회와 시위행진을 단행하면서 일제의 침략만행을 폭로, 규탄하였으며 자신들의 불굴의 반일의지를 남김없이 보여주었다. 한인동포들의 드높은 반일기세와 불요불굴의 투쟁정신은 일제의 기염을 여지없이 꺾어놓았으며 일제의 식민침략정책에 커다란 타격을 가함으로써 조선국내 대중들의 반일애국투쟁을 크게 고무하였고 나아가 동북지역 기타 민족들의 반제운동도 크게 추진하였다. 특히 이번 투쟁에서 민족독립사상, 민주주의, 자유평등정신, 자산계급인도주의 등 자산계급민주주의사상이 널리 전파되면서 한인동포들은 자신들이 바로 반일민족해방운동의 주력군임을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다. 결과 이번 운동을 계기로 중국 동북지역의 반일투쟁은 기존의 평화적인 집회와 시위운동에서 본격적인 무장투쟁으로 전환되는 계기로 작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동북지역 한인사회와 민족정체성 확립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영문 초록

The northeast part of China was the main stage of the resistance against Japanese aggression and independence activities for Korean people during the period when Japan colonized Korea. In order to echo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 Korean people living in the northeast part of china launched many counter-Japanese rallies and protests to support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 which had great influence both on the governing and policy- making process of Japan. Beside the introduction and the conclusion, this paper consists of two main parts. In the first part,it first reviews the outbreak and process of the 3·13 Counter-Japanese protest in Longjing Village, Gan Do, aiming at supporting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 And then, with the rapid spread of the 3·13 counter-Japanese protest movement in Longjing Village to the whole northeast part of China, this paper makes their detailed comparisons and analyses by regions and catalogs. In the second part,it takes the 3·13 Counter-Japanese protest movement in Longjing Village as an example to conduct a general investigation of the regional features, significance and impact of the counter-Japanese protest movement carried out in the whole northeast region. From March to April 1919, the various counter-Japanese rallies and protests held in the Korean-populated areas of northeast China were unprecedented in scale and time span. This movement was a peaceful and great counter-Japanese protest movement in northeast China in support of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 within a developed international context of nationalism of self-determination echoing the October Revolution and the First World War by in the colonial and semi-colonial countries of the world, including Korea. In this campaign, Korean people held rallies and protests to expose and condemn the aggressive atrocities of Japanese imperialism, and their indomitable counter-Japanese will at the same time. The high counter- Japanese momentum and indomitable spirit of the Korean people have undoubtedly dampened the arrogance of Japanese imperialism. It did serious damage to the colonial aggression policy of Japanese imperialism, and greatly encouraged the anti-Japanese patriotic activities back in Korea, and thus greatly promoted the anti-imperialist movement of other Chinese ethnic groups in the northeast region. What’s more, with the wide spread of bourgeois democratic ideas such as national independence, democracy, the spirit of freedom and equality, and bourgeois humanitarianism, Korean people have re-realized that they are the main force of the counter-Japanes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Hence Taking this movement as an opportunity, the counter-Japanese activities in northeast China not only became an opportunity to transform from the existing peaceful rallies and protests into a formal armed fight, but also contributed greatly to the establishment of a sense of social and national identity among Korean people in northeast China.

목차

Ⅰ. 머리말
Ⅱ. 3·1운동의 지역별 전개 양상
Ⅲ. 3·1운동의 특징과 의의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춘선,최광복. (2022).중국 동북지역의 3·1운동. 동국사학, (), 141-187

MLA

김춘선,최광복. "중국 동북지역의 3·1운동." 동국사학, (2022): 141-1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