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규장각 소장 『서당선생집(西堂先生集)』에 대하여
이용수 11
- 영문명
- About Seodangseonsaengjip(西堂先生集) Owned by Kyujanggak
- 발행기관
- 국문학회
- 저자명
- 유정열(Yu, Jeong-yeol)
- 간행물 정보
- 『국문학연구』제46호, 137~15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고에서 소개하는 『서당선생집(西堂先生集)』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이덕수(李德壽)의 필사본 문집이다. 문집의 명칭은 다른 이본들과의 구분을 위해 ‘규장각본 『서당선생집』’이라 하기로 한다. 이 문집은 이덕수의 집안 후손인 이근수(李根洙)가 소장했던 것이다.
규장각본 『서당선생집』은 체재가 정돈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덕수 시문을 풍부하게 수록하고 있는 완질의 문집이라는 점 등에서 가치가 있다. 한편 여타 문집들에서 잘 보기 어려운 「장시연행록(掌試燕行錄)」을 수록하고 있는 점 또한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점들로 인해 이 문집은 이덕수의 문집 중에서 선본(善本)이라 할 수 있다. 앞으로 인터넷 원문보기 서비스 제공 및 영인 작업 등이 이루어짐으로써 이 문집이 이덕수 연구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Seodangseonsaengjip(西堂先生集), introduced in this paper, is a collection of manuscripts written by Lee Deoksoo, that owns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name of the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will be ‘Gyujanggak script Seodangseonsaengjip’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manuscripts. This collection of works was possessed by Lee Geunjo, a descendant of Lee Deoksoo’s family.
The Gyujanggak script Seodangseonsaengjip is valuable in that it is not only well-organized, but also contains a wealth of poetry by Lee Deoksoo. It is also noteworthy that it includes Jangsiyeonhaengrok(掌試燕行錄), which is difficult to find in other literary collections. Therefore, the collection of works can be said to be the best version of Lee Deoksoo.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is collection of works will be actively used in the research of Lee Deoksoo by providing the Internet original text viewing service and photo prints.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문집의 소개
Ⅲ. 문집의 가치와 특징
Ⅳ. 문집의 활용에 대한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공지능(AI) 시대의 인간 정체성 탐구 및 고전서사의 역할 - <이생규장전>과 <옹고집전>을 중심으로-
- 여성영웅소설의 장르관습과 <방한림전>의 여성적 시각
- 옹방강(翁方綱)과의 비교를 통해 본 김정희 <실사구시설(實事求是說)>의 학문적 경향
- 규장각 소장 『서당선생집(西堂先生集)』에 대하여
- 장애인과 보호자의 관계로 다시 읽는 <심청전> - 영화 <코다>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 『이칭일본전(異稱日本傳)』 속의 ‘조선’과 ‘일본
- <쌍화곡(雙花曲)>과 <쌍화점(雙花店)>의 관계 고찰 및 <쌍화점> 해석의 극적(劇的) 맥락 검토
- 풍수 고전 교리의 전설화 및 민담화 양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