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풍수 고전 교리의 전설화 및 민담화 양상

이용수 22

영문명
Witnessing the Evolution of a Geomancy Tale from a Classic Geomancy Doctrine to a Popular Folktale
발행기관
국문학회
저자명
윤홍기(Yoon, Hong-key)
간행물 정보
『국문학연구』제46호, 111~13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1.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국 진나라 곽박이 썼다고 전하는 풍수 고전, 『장경(葬經)』에는 딱딱하고 형이상학적인 풍수 교리 중 으뜸이 되는 “사람들은 자기 몸을 부모로부터 받았다. 그래서 본체의 뼈(무덤에 묻힌 부모의 뼈)가 생기를 얻게 되면 지체(살아 있는 자손의 몸)도 그 생기(福)를 받게 되는 것이다(人受體於父母, 本骸得氣, 遺體受廕) (곽박,『장경』, 『내편』 1)”라는 구절이 있다. 명당을 구해서 죽은 조상의 뼈를 묻기 위하여 지관과 함께 산천을 헤매던 재래 한국인의 행태는 이 『장경』의 말에 근거를 두고 있다. 그러나 이 말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일반 백성들이 이해하기는 쉽지 않다. 지관의 입장에서는 이 풍수 원리를 사람들에게 많이 알려서 풍수신앙을 퍼트려야 자기들의 수입과 사회적 지위가 올라갈 것이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풍수 원리를 쉽고 재미있게 풀어서 민중이 좋아하는 이야기 형식으로 변형한 것이 “영의정이 날 명당을 안 지관” 계통의 설화이다. 『한국구비문학대계』에는 이 계통의 설화 8편이 채록되어 있는데 이들은 풍수 용어나 풍수 교리를 직접 거론함 없이 죽은 조상 해골의 안위(安危)가 살아있는 자손의 안위에 직접 영향을 준다는 것을 흥미롭게 설명한다. 본고에서는 이들 설화 8편을 (1) 해골이 명당에 방치된 이유, (2) 해골에 미치는 외부 영향을 시험한 방법, (3) 풍수 교리를 다루는 부분이 설화에서 차지하는 비중, (4) 설화 채집지 등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이 분석에 근거하여 『장경』의 풍수교리 구절이 “영의정이 날 명당을 안 지관” 계통의 전설에서 어떠한 이본들(다른 전설이나 민담)로 발전했는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또 이 풍수 설화의 발원지가 여러 가지를 고려해 볼 때 영남지방 특히 경남지역이 그 발원지일 확률이 높으며, 설화 제목 “영의정이 날 명당을 안 지관” 설화가 원본 또는 원본에 가까운 것(version)이라 추정했다. 왜냐하면 이 이야기의 내용이 가장 충실하고 다른 유의 설화와 혼합되지 않으며 이야기 전체가 죽은 조상 뼈의 안위가 살아있는 자손의 건강에 영향을 준다는 면에만 집중하는 보다 순수한 풍수교리를 반영하는 전설이기 때문이다. 풍수 설화는 한국 설화 연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왜냐하면 풍수신앙은 한국 전통 사회에 만연하며, 풍수 설화는 이러한 한국인의 풍수적 사고방식을 잘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국인의 정서와 멘탈리티를 이해하는 데는 풍수 설화가 매우 중요하다. 풍수설화는 한국 설화에서 가장 풍부한 자료(가장 많은 설화 수)를 제공하는 설화의 주제 중 하나이다.

영문 초록

A classic in geomancy (known as “p’ungsu” in Korean and “fengshui” in Chinese) is Guo Pu’s Zangjing (葬經) or the Book of Burial. The book contains an important discussion on the nature of vital energy (saenggi: 生氣) and why it can be mysteriously transmitted to a living descendant. It argues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deceased ancestors and their living descendants are like those between the tree branches and the tree trunk. Thus, the power of vital energy can be delivered from the ancestor in a gravesite to their living descendants. The explanation of vital energy in Zangjing is vague and metaphysical and is therefore difficult for a commoner to comprehend. That is perhaps why a clever geomancer might have produced a folk narrative on the subject in order to enlighten commoners about the transmission of vital energy from an ancestral grave to a living descendant. The legend of “the geomancer who recognised the auspicious site that will produce a prime minister” expounded the geomantic principle of vital energy without using any technical geomantic terms or jargons. A son in the legend became a prime minister, thanks to his biological father’s bones being placed in an auspicious grave site. However, when an eye socket of his father’s skull was attacked by a stick or a bundle of pine leaves, the son (the incumbent prime minister) suffered terrible pain in his eyes. When those foreign materials were removed from the skull, the pain in the eyes of the prime minister subsided. The legend effectively illustrated in an entertaining manner on how the deceased father’s bones affected the living son’s wellbeing. Out of the eight different versions of folk narratives dealing with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eceased father’s grave and living son, seven versions did not contain a love story in them and simply focused on how the wellbeing of the father’s skull influenced the wellbeing of the living son. However, one folk narrative from Ch’ungch’ŏng Province included a love story in it. I classify this legend with a love story as an evolution from a legend to a folktale. Thus, one can witness an evolution of a folk narrative from a solemn geomantic theory in Zangjing to a legend and then to a folktale by incorporating a love story. Korean folk narratives dealings with geomantic topics are numerous in numbers and provide rich resources for the study of Korean culture, history and traditional society.

목차

Ⅰ. 들어가면서
Ⅱ. “영의정이 날 명당을 안 지관”류 이야기의 요약
Ⅲ. 토론: 설화의 내용 분석
Ⅳ.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홍기(Yoon, Hong-key). (2022).풍수 고전 교리의 전설화 및 민담화 양상. 국문학연구, (), 111-136

MLA

윤홍기(Yoon, Hong-key). "풍수 고전 교리의 전설화 및 민담화 양상." 국문학연구, (2022): 111-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