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성영웅소설의 장르관습과 <방한림전>의 여성적 시각
이용수 88
- 영문명
- 발행기관
- 국문학회
- 저자명
- 곽보미(Kwak, Bo-mi)
- 간행물 정보
- 『국문학연구』제46호, 85~11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방한림전>은 남성 주인공이 없고 여성과 여성 간의 동성혼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아온 작품으로, 여성영웅소설의 장르관습에 비추어 보았을 때 상반된 평가를 받아 왔다. 그런데 여기서 두 가지 문제를 제기 할 수 있다. 하나는 여성 간의 동성혼 화소가 여성영웅소설에서 흔히 발견되는 화소라는 점, 다른 하나는 장르관습에 대한 구체적이고 일정한 기준이 부재한 채로 논의가 이루어져 왔다는 점이다. 기실 장르관습으로부터의 이탈 지표는 특정 화소의 유무 및 변화였던바, 역으로 관습적으로 통용되는 주요화소가 존재한다면, 이 화소를 장르관습을 나타내는 지표로 가정해 볼 수 있다.
실제로 여성영웅소설의 주요화소와 서사패턴 중 일부는 <방한림전>을 포함한 여성영웅소설에서 공통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곧 <방한림전>이 여성영웅소설의 장르관습을 준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방한림전>의 경우, 주요화소의 결합 순서 및 서사전개 상의 위치에 차이를 보인다. 남장 화소 뒤에 부모부재 화소가 결합하고, 동성혼 화소 뒤에 정체고백 화소를 결합함으로써 남장과 동성혼 화소의 성격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었다. 또 적강과 천정연 화소가 작품 후반부에 결합함으로써 여타영웅소설과는 다른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변화에 작자의 문제의식이 개입돼 있다는 사실이다. 동성혼이 방관주의 정체를 은폐하는 중요한 수단으로써 인식된 점, 반동인물인 주유랑을 여성영웅소설의 유형적 인물로 설정한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무엇보다 영혜빙이 그간 동성혼에서 배제돼 있던 또 다른 여성의 존재를 주목하여 재창조해 낸 인물이라는 사실이다. 영혜빙은 가부장적 질서와 유교 이념에 의해 재현된 여성인물로부터 탈피하여, 가부장제의 여성상을 거부하고 남성젠더와 동등한 지위를 얻고자 한다. 이로 인해 <방한림전>의 동성혼은 남성으로서의 삶과 남성에게 통제 받지 않는 여성의 삶을 살고자 한 여성들의 연대라는 의미를 지닌다. 나아가 영혜빙은 방관주와의 관계에서도 종속된 존재로서의 여성상을 거부한바, 가부장제의 여성 지위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제시하고 있다.
결국 <방한림전>은 여성영웅소설의 장르관습에 대한 작자의 문제제기이며, 이로써 ‘여성들’의 주체적인 삶에 대한 하나의 모색을 보여주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Banghanlimjeon has been noted, because it has no male character and the marriage between two women. In view of the genre convention of heroine narrative, it has been antithetically evaluated. However, there are two problems: 1)The marriage between two women is the motif commonly found in Heroine Narrative. 2)Banghanlimjeon is discussed without specific standards of the genre convention of heroine narrative.
In fact, if there are motifs generally used between the narratives, it’s possible to assume that these belong in the same category. Actually, there are primary motifs & narrative patterns in the heroine narrative. It means Banghanlimjeon is based on the genre convention of heroine narrative. However, the changes of bond order and position of primary motifs in the epic make differences.
The important thing, these changes are caused by an author who has a critical mind. It is supported by using same-sex marriage and setting antagonist, Joo Yu-Rang, who has a typical character in the heroine narrative. Above all, Yeong Hye-bing is recreated from the female characters who are ruled out of marriage. She comes out of them who are reproduced by the patriarchal system and Confucianism. With this, the same-sex marriage is becoming a solidarity between women who want to live each gender role without patriarchal control.
In the end, Banghanlimjeon is created by an author who has a critical mind of the genre convention of heroine narrative.
목차
Ⅰ. 머리말
Ⅱ. 여성영웅소설의 장르관습과 <방한림전>
Ⅲ. 장르관습에서 본 <방한림전>의 창작의도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공지능(AI) 시대의 인간 정체성 탐구 및 고전서사의 역할 - <이생규장전>과 <옹고집전>을 중심으로-
- 여성영웅소설의 장르관습과 <방한림전>의 여성적 시각
- 옹방강(翁方綱)과의 비교를 통해 본 김정희 <실사구시설(實事求是說)>의 학문적 경향
- 규장각 소장 『서당선생집(西堂先生集)』에 대하여
- 장애인과 보호자의 관계로 다시 읽는 <심청전> - 영화 <코다>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 『이칭일본전(異稱日本傳)』 속의 ‘조선’과 ‘일본
- <쌍화곡(雙花曲)>과 <쌍화점(雙花店)>의 관계 고찰 및 <쌍화점> 해석의 극적(劇的) 맥락 검토
- 풍수 고전 교리의 전설화 및 민담화 양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