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강릉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의 복장 유물과 중수발원문의 분석

이용수 144

영문명
Analysis of Bokjang Relics and Records from wooden seated Manjushri Statue of Bohyunsa Temple in Gangneung
발행기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유근자(Yoo, Geun-Ja)
간행물 정보
『동국사학』제72권, 115~155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2018년에 조사된 강릉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老文殊菩薩像]의 복장 유물과 중수발원문(1599년)을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중요한 사실 가운데 하나는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의 중수발원문(1599년)에는 오대산 상원사 상은 ‘童子文殊像’으로, 강릉 보현사 상은 ‘老文殊像’으로 기록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는 조선시대에 ‘동자문수상’과 ‘노문수상’을 한 쌍으로 중수한 현존하는 유일한 예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의 조성 시기는 양식 특징으로 보아 고려 말에서 조선 초로 추정되며, 복장물의 분석을 통해 15세기와 16세기에 두 차례 걸쳐 중수된 것이 확인되었다. 1차 중수는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이 조성된 1466년에 이루어졌고, 2차 중수는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과 함께 1599년에 실시되었다. 2차 중수 때 상원사 상은 ‘동자문수상’으로, 보현사 상은 ‘노문수상’으로 인식되었다. 1차 중수에 관한 기록은 없지만 황초폭자, 후령통, 전적 등 복장 유물이 1466 년에 조성된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의 유물과 거의 유사한 것으로 보아 1466년에 1차 중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된다. 1599년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의 중수는 智雲과 普明 등의 승려들이 주도하였고, 의승군으로 활동한 學明이 중수발원문을 쓴 것으로 보아 이 중수는 왜란으로 죽은 자들을 위한 영가 천도와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의 황초폭자와 후령통은 상원사 목조동자문수좌상의 그것들과 마찬가지로 1466년에 조성되었고, 중수발원문은 1599년에 추가한 것이다. 황초폭자에 기록된 ‘王妑尹氏’는 세조비 정희왕후로 추정해 1466년 1차 중수의 시주자로 해석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was written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Bokjang relics (1466) and the ‘Balwonmun on Refurbishment of the Statue’ (1599) found in the wooden seated Manjushri statue of the Bohyunsa Temple, Gangneung, investigated in 2018. One of the more meaningful facts revealed in this study is that the Manjushri statue of Sangwonsa temple is recorded as “youthful Manjushri” and the statue of Bohyunsa temple is recorded as “old-aged Manjushri”. This is the only extant case of refurbishment as a pair of ‘youthful Manjushri’ and ‘old-aged Manjushri’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production period of the Manjushri statue of Bohyunsa temple is estimated from the end of Goryeo to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in 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yle. The statue appears to have been refurbished twice,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The first refurbishment of the statue of Bohyunsa temple was made in 1466 when the Manjushri statue of Sangwonsa temple was produced. The second refurbishment was done together with the statue of Sangwonsa temple in 1599. At this time, the Manjushri statue of Sangwonsa temple was recognized as “youthful Manjushri” and the statue of Bohyunsa temple as “old-aged Manjushri”. Although there is no record of the first refurbishment, it is believed that the first refurbishment of the Manjushri statue of Bohyunsa temple was carried out in 1466, as Bokjang relics such as the Hwangcho- pokja and Huryungtong are almost similar to those found in the Manjushri statue of Sangwonsa temple produced in 1466. In 1599, the refurbishment of the wooden seated Manjushri statue of Bohyunsa temple was led by monks such as Ji-un(智雲) and Bo-myeong( 普明). And since monk Hak-myeong(學明), who was active as a Ui-seung-gun(義僧軍, monk soldier), wrote the Balwonmun, it seems that this project is related to the pray for the souls of the people who died in the Japanese invasion to go to the world of paradise. The Hwangcho-pokja and Huryungtong of the Manjushri statue of Bohyunsa temple were made in 1466 as were those of the Manjushri statue of Sangwonsa temple, and the ‘Balwonmun on Refurbishment of the Statue’ was additionally enshrined in 1599. It seems that Qeen Jeong-Hee, the wife of King Sejo, supported the refurbishment project of the Manjushri statue of Bohyunsa temple in 1466, as the letters ‘王妑 尹氏’ are written on the Hwangcho-pokja wrapped around Huryungtong (1466).

목차

Ⅰ. 머리말
Ⅱ.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의 현상 및 특징
Ⅲ.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의 복장 유물
Ⅳ.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의 중수발원문 분석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근자(Yoo, Geun-Ja). (2021).강릉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의 복장 유물과 중수발원문의 분석. 동국사학, 72 , 115-155

MLA

유근자(Yoo, Geun-Ja). "강릉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의 복장 유물과 중수발원문의 분석." 동국사학, 72.(2021): 115-1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