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려시대 삼별초 전쟁난민과 피난처

이용수 435

영문명
A Study on the War Refugees and Shelters in the Sambyeolcho[ special capital defense unit] of the Goryeo Dynasty
발행기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전영준(Jeon, Young-joon)
간행물 정보
『동국사학』제72권, 45~83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3세기를 전후한 시점의 고려는 이민족의 침입을 많이 받았다. 그중에서도 몽골의 침입은 장기간에 걸쳐 국토와 백성이 유린되는 참혹한 전쟁으로 이어졌다. 전장은 전국토로 확산되었고 개경과 전국의 사원은 약탈의 대상이 되거나 소실된채 폐사되었다. 이에 따라 고려 정부는 무신정권의 집권을 유지하고 水戰에 약점을 보이는 몽골을 피해 강화도로 천도를 결정하여 항전을 이어갔다. 강화도를 전시수도로 하고 서해안과 남해안의 여러 도서들에 백성들을 이주시켜 그들의 생업을 마련하는 등의 대책을 마련하였고, 그중의 몇몇 도서는 몽골의 고려 복속 이후에도 삼별초와 전쟁난민들이 대몽항쟁을 이어갈 수 있는 저항거점이자 피난처가 되었다. 진도를 필두로 완도와 남해도 및 제주도를 피난처로 삼아 이동하였음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지만, 서남해안의 여러 섬들은 몽골에 항전하던 삼별초와 전쟁난민의 입보처로 활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아울러 일본의 후쿠오카와 류큐까지도 대몽항쟁기 전쟁난민의 피난처로 선택되었을 가능성도 열려 있다.

영문 초록

The consideration of the postwar period of the 13th century was heavily invaded by the immigrant. Among them, Mongolia’s invasion led to a terrible war in which land and people were released over the long term. The battlefield spread to the country, and the opening and temples across the country were abolished with looting or loss. As a result, the Goryeo government maintained the power of the atheist regime and continued the protest by determining the nectarines that would strengthen Mongolia, which had weaknesses in the war. Several islands on the west and south coasts of Auller have come up with measures such as migrating people and preparing their walks of life, some of which have become resistance and refuge for Sambeol- cho and war refugees to continue the great dreamland even after Mongolia’s consideration. Became. Representatively, you can choose Jindo, South Sea, and Jeju Island, but the high islands of the West and South Coast are likely to have been used and war refugees who had been in Mongolia. Even the Fukuoka of Japan and Ryukyu are open to the possibility of being chosen as a refuge for the Mongolian Invasion.

목차

Ⅰ. 머리말
Ⅱ. 강화천도와 山城 및 海島入保 전략
Ⅲ. 서남해안 漕運路의 주요 해도입보처
Ⅳ. 삼별초 난민의 제주도, 류큐 南行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영준(Jeon, Young-joon). (2021).고려시대 삼별초 전쟁난민과 피난처. 동국사학, 72 , 45-83

MLA

전영준(Jeon, Young-joon). "고려시대 삼별초 전쟁난민과 피난처." 동국사학, 72.(2021): 45-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