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려가요 연구 결과의 공유와 확산에 대하여

이용수 71

영문명
Sharing and Disseminating of Koryŏgayo Research Results
발행기관
국문학회
저자명
최미정(Mijeong Choi)
간행물 정보
『국문학연구』제35호, 7~3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5.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2000년 이후의 고려가요에 대한 학계의 연구를 살펴, 그 문제점을 정리하고 고려가요 연구가 앞으로 주력할 부분에 대한 필자의 의견을 제기한 것이다. 고려가요 연구자가 스스로의 노력에 대한 권리를 지키며 다른 사람의 권리를 존중해 주는 가운데, 연구결과를 효과적으로 공유하고, 최근의 관심들을 더욱 활성화하기 위한 필자의 견해를 어석의 문제, 역사학적 접근의 길 찾기, 문화콘텐츠에 대한 지식 제공의 세 분야에서 아래와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어학과 문학 연구가 만나는 고려가요 연구에서 연구의 원칙과 윤리를 재확인할 필요가 있다. 난해구를 비롯한 몇몇 어구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거듭되고 있는 현실은 재고가 필요하다. 문학연구자가 어학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새로운 어석을 주장할 때는, 선행 문학연구가 활용한 국어학 이론에 대한 충분한 검토를 거쳐 재론의 필요성을 먼저 확인해야 한다. 또한 명백하게 오류로 판명된 과거의 어석을 근거로 문학논의를 진행할 때는 그에 대한 오류를 지적했던 선행 어학 이론에 대한 반론을 제기해야 할 것이다. 한편 어학연구자가 문학연구자의 상상력을 작품 전체의 이해 틀로 사용할 경우, 반드시 선행 문학연구의 출처를 밝혀야 하는 것은 꼭 필요한 연구윤리이다. 인접학문의 활용에는 자신의 영역에서보다 더 조심스런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당대 자료가 빈약한 고려시대의 문학 연구에서 특히 취약한 역사적 접근을 활성화하기 위해 『고려사』를 함께 읽고 연구하는 모임 등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고려사』에서 가요와 악에 대해 서술하는 방식 등을 체계화해 고려가요의 발생과 관계된 정황 등의 연구에 적용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고려가요를 활용한 문화콘텐츠 제작을 다양화하기 위해, 조선의 악장에 대한 연구와는 별도로 고려의 악장 연행에 관한 논의가 진행되어야 한다. 불교국가 고려에서 사랑노래가 주를 이룬 악장의 수용 현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 연행 공간인 궁중과 사찰에 관한 연구도 다각도로 이루어져야 하며, 고려가요 연행 현장에서 창작자와 향수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미적 교감에 대한 분석도 필요하다. 그리고 이들 연구를 활용한 문화콘텐츠 제작에는 고려가요 연구자의 업적을 참조하였음을 반드시 밝혀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review the literature on koryŏgayo(高麗歌謠) since 2000, summarize the problems highlighted in the literature, and provid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hree-fold: to discuss mutual consent in the lexical reinterpretation of koryŏgayo, directions for the historical approach, and the knowledge of koryŏgayo for the production of cultural content. First, there is a need to reaffirm the principles and ethics of koryŏgayo studies, which combine linguistics and literary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 reinterpretations of some words or difficult phrases have been suggested previously. When literary researchers claim a new reinterpretation of such words or phrases using the results of linguistic research, it is essential to identify the need and valid reason for rethinking. In particular, if the literary research is based on past linguistic interpretations that have been proven erroneous, the preceding linguistic theory should be questioned. However, if linguistic researchers use the ideas of other literary researchers as the complete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work of koryŏgayo, it is their ethical obligation to cite the previous literary studies as their source. The use of knowledge from adjoining disciplines requires a more cautious approach than in their own sphere. Second, there is a practical need for study groups to read and study together to facilitate historical research on koryŏgayo, despite the shortage of data on Koryŏ. This joint research is expected to simplify the description of the Koryŏsa music, which could be used to reveal the context related to the generation of koryŏgayo. Third, to provide useful knowledge for the production of cultural content using koryŏgayo, studies on the performance of koryŏ akjang(Koryŏ court music), separate from that of chosŏn akjang, should be increased. Considering that royal palaces and temples provide an interesting setting for cultural content, they should be examined using various approaches. In addition, to investigate the kind of atmosphere in which a series of love songs were performed as the main repertoires of court music in the presence of a king in the Buddhist country of Koryŏ, the aesthetic sympathy between the creator and the audiences should be analyzed.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references to koryŏgayo research to enable the production of cultural content.

목차

Ⅰ. 들어가면서
Ⅱ. 최근 고려가요 연구 결과의 검토와 방향 모색
Ⅲ.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미정(Mijeong Choi). (2017).고려가요 연구 결과의 공유와 확산에 대하여. 국문학연구, (35), 7-34

MLA

최미정(Mijeong Choi). "고려가요 연구 결과의 공유와 확산에 대하여." 국문학연구, .35(2017): 7-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