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김종직의『이준록(彛尊錄)』에 대한 문학적 고찰

이용수 37

영문명
A Literary Study on Kim Jong-jik s IICHUNROK(彛尊錄)
발행기관
국문학회
저자명
구슬아(Koo, Seul-Ah)
간행물 정보
『국문학연구』제35호, 183~232쪽, 전체 50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5.31
8,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김종직이 부친 김숙자의 세계(世系)와 연보, 사우명단, 생전의 언행, 제의(祭儀) 등의 다섯 범주로 부친의 삶을 반추한 기록인 『이준록(彛尊錄)』을 문학적 시각에서 분석하는 글이다. 김숙자는 김종직이 『소학』의 학습과 삶에서의 실천을 강조하는 스승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결정적 영향을 끼친 인물이다. 『이준록』의 구성 방식과 주제의식을 통해 그러한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준록』은 그간 김숙자의 전기적(傳記的) 사실을 담은 사료로 여겨져 왔지만, 여기에는 김종직의 문학적 가공의지가 담겨 있다는 점에서 하나의 문학적 주제가 관류하는 문학 작품으로 간주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격적인 분석에 앞서 『이준록』의 찬술 배경과 전체적 구성을 개괄함으로써, 김종직이 김숙자의 학문적․윤리적․정치적 업적을 정리하고 이를 통해 김숙자의 명예를 회복하는 한편 『소학』적 저술태도와 구성 방식을 활용하여 후손과 독자들에 대한 교육적 효과까지 확보하고자 하였음을 밝혔다. 이어서 『이준록』의 주제의식을 ‘총론(總論)’, ‘입교(立敎)’, ‘명륜(明倫)’, ‘경신(敬身)’이라는 『소학』의 대주제에 따라 분류하여 각 일화를 정밀하게 해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분석을 통해 김종직이 『이준록』을 조선의 실천 사례가 추가된 조선식 『소학(小學)』의 성격을 갖는 저술로 만들려는 의도를 가졌던 것이 아닌가 추정하였다. 가장 먼저 김종직은 김숙자의 삶에 대해 효제(孝弟)라는 도덕적 원칙을 실천하며 오륜을 수호하는 규범적 군자로 규정하고 있다. 이것은 김숙자의 삶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사대부 독자들이 성리학의 도덕적 원칙을 실천하여 수신(修身)해야 한다는 김종직 평생의 주장과도 관련되어 있다. ‘입교’에서는 김숙자가 실천한 성리학적 학습의 방법과 교육 순서를 소개하는 한편, 지방의 인재들을 양성하는 데 치중하였던 교육자적 면모를 강조하는 일화를 제시하였다. ‘명륜’에서는 제례와 혼례에 관련된 일화를 중심으로 사대부들이 『소학』과 『주자가례』를 실천할 것을 강조하는 김숙자의 의지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경신’에서는 원칙과 지조를 견지한 군자로서의 면모를 제시하였다. 이처럼 『이준록』은 김종직의 문학적 형상화 수법이 다채롭게 반영되어 부친 김숙자의 삶을 매개로 독자들에게 교육적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또한 후대 문인들에 의해 가사(家史), 가범(家範), 제례서 등의 다양한 양태로 그것이 계승되고 있다는 점에서 조선전기 문학의 실용적․기록적 특징을 잘 드러내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offers a literary analysis of Kim Jong-jik’s IICHUNROK(彛尊錄). IICHUNROK is a literary records of the life of his father Kim Suk-ja(金叔滋). It’s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Genealogy, annual report, the list of colleagues, speech and actions, and the way of religious ceremony. Kim Suk-ja has been a decisive influence on Kim Jong-jik s position as a teacher who emphasizes the practice and learning of SOHAK(小學). I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structure and subject matter of this book. Although IICHUNROK has been regarded as a rationale for the author s biographical facts, but it contains Kim Jong-jik s literary inten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nd analyze as a literary works with a single literary theme. A review of the background and composition of this book, Kim Jong-jik was trying to recover his father’s honor by organizing his father s academic, ethical and political achievements. In addition, he stated that he tried to secure the educational effect on readers by using the writing attitude and composition method of the book SOHAK. Subsequently, the subject matters of this work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in subject of the book SOHAK- general introduction(總論), education(立敎), ethics(明倫) and deportment(敬身). In accordance with this grand scheme, the contents were classified and the important episodes were precisely interpreted.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t can be inferred that Kim Jong-jik presented IICHUNROK intention to make a new kind of SOHAK the addition of Chosun’s practice. In general introduction, Kim Jong-jik defines his father s life as a normative character that protects ethics and practicing the moral principle of filial piety and fraternity(孝弟). This is not limited to Kim Sook-ja s life, but also to Kim Jong-jik s lifelong claim that readers should practice moral principles and self-disciplines. In educational section, Kim Jong-jik introduced the method and training sequence of the neo-Confucianism suggested by his father. It also emphasizes the aspect of educators who have focused on cultivating local talents. The ethical section presents episodes related to rituals and marriages. Kim Sook-ja emphasized that the household of the gentry should practice the teachings of SOHAK and GARYE(家禮). Lastly, in deportment sections, Kim Jong-jik presented his father’s position as a true gentleman who keep his principles. IICHUNROK reflects various ways of Kim Jong-jik s literary patterning. Through this work, Kim Jong-jik organized his father s life and he was able to bring educational effect to readers. These methods of writing were handed down by later writers in various ways such as household history, family standard and lecture books. This is an example that reveals the practical and record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in early Chosun.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찬술 배경과 구성 방식
Ⅲ. 김숙자 상(像)의 정립 양상
Ⅳ. 문학사적 의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슬아(Koo, Seul-Ah). (2017).김종직의『이준록(彛尊錄)』에 대한 문학적 고찰. 국문학연구, (35), 183-232

MLA

구슬아(Koo, Seul-Ah). "김종직의『이준록(彛尊錄)』에 대한 문학적 고찰." 국문학연구, .35(2017): 183-2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